- 영문명
- A Critical Inquiry on the "2007 Revisiona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 on a Secondary School(Grade 7 to 10)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최지현(Choi Ji-hyun)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창간호, 211~23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30

국문 초록
본고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검토 하고 이를 해소할 방안을 구체화하여 제안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특히 중등학교에 해당하는 7~10학년의 교육과정적 특성과 그것의 교육철학적 배경이 되고 있는 발달론의 가정을 교육 내용과 학년군과 학제의 상관 관계 속에서 평가하는 데 초점을 두었는데, 이로부터 도출해 낸 문제점의 해소 방안으로 다음 네 가지 제도적 보완책을 제시하였다.
첫째, 수준별 교육의 실질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에 학년군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둘째, 교육 내용 축소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과서 개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내용 기준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교육과정 간략화를 내실화해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의 민간 연구와 사후 공모를 제도화하고 그 성과를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첫째, 수준별 교육의 실질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에 학년군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둘째, 교육 내용 축소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과서 개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내용 기준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교육과정 간략화를 내실화해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의 민간 연구와 사후 공모를 제도화하고 그 성과를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aimed at proposing a policy including some devices to solve the problems that were identified through critical investigation on "2007 revisiona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make an alternative idea. Especially I focused on assessing the distinctive quality of curriculum of Grade 7 to 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ary school and the presupposition of developmental theory in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content, group of grades, and school system. As a result, four means came out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e first, for the substantial actualization of differentiated education, it needs to introduce a conception of "the group of grades."
The second, it requires to prepare a method for development of textbook corresponding to the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The third, it needs to make the simplification of curriculum standard substantial for developing a content standard centered curriculum.
And the fourth, it needs the systematization of private investigation of curriculum and follow-up subscription, and the product should be represented to curriculum.
The first, for the substantial actualization of differentiated education, it needs to introduce a conception of "the group of grades."
The second, it requires to prepare a method for development of textbook corresponding to the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The third, it needs to make the simplification of curriculum standard substantial for developing a content standard centered curriculum.
And the fourth, it needs the systematization of private investigation of curriculum and follow-up subscription, and the product should be represented to curriculum.
목차
<요약문>
1. 문제 제기
2. 개념과 범주 문제
3. ‘7~10학년’이기에 발생하는 문제들
4. 네 가지 제안
5. 후속 논의를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1. 문제 제기
2. 개념과 범주 문제
3. ‘7~10학년’이기에 발생하는 문제들
4. 네 가지 제안
5. 후속 논의를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