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ritical Review of 2007 Reforme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s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정혜승(Chung Hye-seung)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창간호, 163~1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을 분석하고, 실제, 텍스트, 맥락 등 교육과정 핵심어의 의미를 파악하며, 교육 내용 선정 원리와 근거를 성취 기준의 의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학습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학년별 내용’을 중심으로 학습량을 분석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은 국어과의 교과적 특수성을 밝히는 데 집중하여 국어과 교육의 비전을 제시하는 데 미흡할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교육 내용을 포섭하기 어려우며, ‘목표’와 동어반복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핵심 단어인 실제, 텍스트, 맥락은 그 개념이 매우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어 교육과정 체계 안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 내용 선정 원리와 근거의 정당성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은 국어과의 교과적 특수성을 밝히는 데 집중하여 국어과 교육의 비전을 제시하는 데 미흡할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교육 내용을 포섭하기 어려우며, ‘목표’와 동어반복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핵심 단어인 실제, 텍스트, 맥락은 그 개념이 매우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어 교육과정 체계 안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 내용 선정 원리와 근거의 정당성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은 국어과의 교과적 특수성을 밝히는 데 집중하여 국어과 교육의 비전을 제시하는 데 미흡할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교육 내용을 포섭하기 어려우며, ‘목표’와 동어반복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핵심 단어인 실제, 텍스트, 맥락은 그 개념이 매우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어 교육과정 체계 안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 내용 선정 원리와 근거의 정당성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은 국어과의 교과적 특수성을 밝히는 데 집중하여 국어과 교육의 비전을 제시하는 데 미흡할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교육 내용을 포섭하기 어려우며, ‘목표’와 동어반복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핵심 단어인 실제, 텍스트, 맥락은 그 개념이 매우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어 교육과정 체계 안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 내용 선정 원리와 근거의 정당성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2007 reforme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s by addressing ‘the Character’ of the reformed curriculum, the meaning of Keyword such as ‘practice’, ‘text’ and ‘context’ and the principles and bases applied to refine the curriculum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standards.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learning was analyzed for each grader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formed curriculum.
‘The Character’ of the reformed curriculum is focused to explain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subject but lacks suggestion for vision of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till, it seems difficult to deliver meaningful education and has a problem as it has the same meaning of ‘Objective". The Keyword of ‘practice’, ‘text’ and ‘context’ reflect the characters of the reformed curriculum. The concepts of these words are used without clear definitions and do not function to deliver any practical meaning in the curriculum schem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achievement standards, achievement standards act as content standards, leading to a criticism for the standardized education content. It is not logical to implement achievement standards designed for track curriculum as part of the reform of the non-track curriculu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ext-based contents may result i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learning in contradiction with what developers intend. Since content areas are not integrated among identical texts, and texts vary among content areas, it is likely that the amount of learning materials increase under the reformed curriculum.
‘The Character’ of the reformed curriculum is focused to explain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subject but lacks suggestion for vision of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till, it seems difficult to deliver meaningful education and has a problem as it has the same meaning of ‘Objective". The Keyword of ‘practice’, ‘text’ and ‘context’ reflect the characters of the reformed curriculum. The concepts of these words are used without clear definitions and do not function to deliver any practical meaning in the curriculum schem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achievement standards, achievement standards act as content standards, leading to a criticism for the standardized education content. It is not logical to implement achievement standards designed for track curriculum as part of the reform of the non-track curriculu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ext-based contents may result i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learning in contradiction with what developers intend. Since content areas are not integrated among identical texts, and texts vary among content areas, it is likely that the amount of learning materials increase under the reformed curriculum.
목차
<요약문>
1. 서론
2. 교육과정의 ‘성격’ 검토
3. 실제, 텍스트, 맥락의 의미 분석
4. 교육과정 내용 선정의 원리와 근거 분석
5. 교육과정 ‘학년별 내용’의 적정성 검토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교육과정의 ‘성격’ 검토
3. 실제, 텍스트, 맥락의 의미 분석
4. 교육과정 내용 선정의 원리와 근거 분석
5. 교육과정 ‘학년별 내용’의 적정성 검토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