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among Influencing Factors of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유일(Il Ryu) 이경근(Kyung-Geun Lee)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22卷 第3號, 177~20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기술수용에 관한 가장 설득력 있는 모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을 기반으로 정보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에서 성별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아래 확장된 TAM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이용용이성 간의 관계는 남성보다 여성집단에서 더욱 강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이용용이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역시 여성들이 남성집단에 비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의도간의 관계는 여성집단에 비하여 남성집단에서 그 효과가 더욱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차에 따른 경로계수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주관적 규범과 이용의도간의 관계는 남녀 모든 집단에서 개념간 경로의 유의성에도 불구하고 성별에 따른 경로계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이 정보기술 수용과 관련된 성별 차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개별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온데 비하여 정보기술 수용과 관련된 포괄적 모형 하에서 주요 개념 간 관계를 중심으로 의사결정 절차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결론부분에서 연구의 주요결과가 지니는 의의 및 한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이 정보기술 수용과 관련된 성별 차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개별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온데 비하여 정보기술 수용과 관련된 포괄적 모형 하에서 주요 개념 간 관계를 중심으로 의사결정 절차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결론부분에서 연구의 주요결과가 지니는 의의 및 한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is research investigates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The model is tested using LISREL analyses on the sample of 293 users (145 female and 148 male) who have experienced Internet Banking Sys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partial support for the conceptual model. Compared to women, men"s technology usage decisions are more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perceptions of usefulness. In contrast, women are more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perceptions of ease of use, subjective norm, and self-effica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searcher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gender factors in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information technology. Additionally, managers and practitioners should realize that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may be perceived differently by women and men.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가설 설정
Ⅳ. 연구방법
Ⅴ. 실증분석결과 및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가설 설정
Ⅳ. 연구방법
Ⅴ. 실증분석결과 및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