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식학파에서 요가의 의미와 목적 - 『해심밀경』「분별유가품」을 중심으로

이용수 369

영문명
The meaning and purpose of Yoga in Mind-Only School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백진순(Paek Jin-Soo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16호, 239~26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4.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term of Yoga has very significant practical meanings in Mind-Only school. In this school, Yoga in a broad sense means the correspondence(相應), both of buddhist theories with practices and of practices with those fruits. And Yoga in a narrow sense means ?amatha-vipa?yan?(止觀) which is the best way to the truth of Mind-Only, exactly the philosophical meditation. In this study, we especially give attention to the point that the philosophical meditation and the logical investigation of the teachings of Buddha can be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s to realize the truth. It is very suggestive to us, whereas Zen school takes too exclusive attitude toward the scriptures. The ascetics in practicing yoga consistently meditate on linguistic insight that the meaning of the word is only fictitious constructions produced by consciousness. In result, they disjoin the word from its meaning and remove the world of words of which the external reality we believe i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광의의 요가: 상응(相應)
Ⅲ. 협의의 요가: 지관(止觀)
Ⅳ. 맺는 말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진순(Paek Jin-Soon). (2007).유식학파에서 요가의 의미와 목적 - 『해심밀경』「분별유가품」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16), 239-263

MLA

백진순(Paek Jin-Soon). "유식학파에서 요가의 의미와 목적 - 『해심밀경』「분별유가품」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16(2007): 239-26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