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cetic Practices of Early Korean Catholic Women: Food Abstinence and Sexual Continence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 저자명
- 김윤성(Yun-Seong Kim)
- 간행물 정보
- 『여성학논집』제24집 1호, 233~26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국문 초록
이 글은 조선후기 천주교 여성 신자들의 금욕적 실천이 지닌 의미에 관한 탐구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초기 천주교 여성 신자들의 금욕적 실천과 관련된 담론을 분석한다. 이 글은 금욕적 실천이란 단지 몸과 욕망의 거부가 아니라 그 역설적인 긍정으로서, 몸의 영성을 실현하는 방식이며, 거기에는 종교적 의미와 정치적 효과가 동시에 담겨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입장에 따라 우선 논의의 토대로 초기 천주교 신자들의 금욕적 실천에서 몸, 영성, 정치적 효과, 젠더의 역학이 어떻게 복잡하게 얽혀있었는지를 밝히고 있다. 이어서 이러한 작업의 토대 위에서 구체적으로 여성 신자들이 행한 음식 절제와 성적 절제의 두 가지 금욕적 실천에 내재한 젠더 문제를 분석한 다. 먼저 음식 절제와 관련해서는 그것이 남성적 종교 상징을 변형시키고 수용하는 여성적 전략이며, 음식의 공급자이자 동시에 음식의 은유이기도 한 가부장적 여성 역할과 이미지를 극복하려는 여성들의 고투였음을 밝히고 있다. 성적 절제와 관련해서는 그것이 여성을 남성 욕망의 대상으로만 규정하던 가부장적 성 규범에 의한 속박이 자 동시에 이를 넘어서려는 여성들의 주체적 모색이기도 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 글은 조선후기 천주교 여성들의 금욕적 실천이 한편으로 어떻게 가부장적 사회와 종교의 안팎을 넘나들었던 여성들의 모호한 위상을 반영하고 있었는지, 또 다른 한편으로 그 모호성 안에서 가부장제를 넘어서는 일말의 자유를 찾고자 했던 여성적 주체의 모습이 어떤 것이었는지, 그 이중성을 밝히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lucidates the meaning of early Korean Catholic women’s ascetic practices during its formative period in the Choseon dynasty from the late eighteenth to the middle nineteenth centuries. For this, I analyse diverse discourses related to the ascetic practices performed by female lay believers in early Korean Catholicism. This thesis assumes that ascetic practices are not so much the mere rejection of the body and its desires as their paradoxical affirmation for actualizing an embodied spirituality, which was heavily loaded with both religious meaning and political effects including gender issues. With such an assumption, first, I examine how the body, the spirituality, the politics, and the gender structure were complexly entangled with one another in the ascetic practices of early Korean Catholics. Following analyses, I examine the problem of gender in two sorts of ascetic practices performed by early Korean Catholic women: food abstinence and sexual continence, which were understood as being related to the most basic instinct of appetite and sexual desire. Regarding food abstinence, first, I show that it was a feminine strategy to transform and adopt the masculine religious symbolism of the Eucharist on the one hand, and a struggle to overcome the patriarchal role and image of women as food providers and the metaphor of food on the other hand. Regarding sexual continence, I show that it was not only a restriction imposed by the patriarchal sexual norm defining women as the mere objects of male desires, but also an effort of women to challenge and escape out of the patriarchal restriction. Through the analyses, in conclusion, I demonstrate that the ascetic practices of early Korean Catholic women were the patriarchal derangement of suppressed and alienated female desires on the one hand, and that they simultaneously were the de-patriarchal effort of women to procure autonomy and subjectivity by recognizing their bodies and affirming their desires on the other hand. In a word, the ascetic practices of early Korean Catholic women were the mirrors reflecting their ambiguous status within and without the patriarchal structures of Choseon society and the Catholic church.
목차
1. 머리말
2. 금욕적 실천: 몸, 영성, 정치
3. 음식 절제: 굶주림의 정치학
4. 성적 절제: 여성 자율성의 토대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2. 금욕적 실천: 몸, 영성, 정치
3. 음식 절제: 굶주림의 정치학
4. 성적 절제: 여성 자율성의 토대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