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Man On Horse Metaphor Ⅱ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이향준(李向俊)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東洋哲學 第27輯,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7.30
국문 초록
이 글은 체험주의적 시각에서 주희의 「인승마」 은유가 한국 성리학에 어떻게 수용ㆍ변형되었는지 율곡학파를 중심으로 탐구한 것이다. 이 탐구의 결과 주희의 「인승마」 은유는 이황을 통해 퇴계학파에서 수용ㆍ강화된 것과는 달리, 율곡학파에서는 거부되었고, 그 대체 은유로서 「그릇 은유」가 도입되었으며, 「그릇 은유」는 이이의 후학들에게 이기의 대응 관계에 대한 사유를 유발했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 같은 과정에서 「인승마」 은유가 주장하고자 했던기에 대한 리의 통제력은 「그릇 은유」와 그 변형의 과정들을 거치면서 점점 상실되어 마침내는 임성주에 이르러 리와 기가 우열 관계를 논할 수 없는 수평적인 관계로 귀결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인승마」 은유를 거부하고 「그릇 은유」로의 대체를 시도한 율곡학파의 성리학적 사유는 리의 우월성을 끊임없이 후퇴시켜 마침내는 그 우월성을 주장할 수 없는 이론적 극한으로까지 성리학적 사고를 진행시켰는데, 이 과정 속에는 은유적 사유의 수용과 거부, 그리고 대체와 변형의 과정이 성리학 이론의 변형 과정과 조응하는 인지적 기제로서 작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