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ading Tendency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Jeon-guk-chaek (Book of Warring States)』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남은경(Nam Eun-kyung)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26輯, 347~37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국문 초록
  약육강식의 시대 속에서 생존을 위한 제후국들 간의 각축을 가감 없이 기록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그 권모술수의 내용으로 인해 많은 비난을 받았던 책이 『전국책(戰國策)』이다.
본고는 조선중기의 문인지식인들이 궤휼(詭譎)의 책 『전국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읽었으며, 또 어떠한 영향을 받았을지를 추적해 보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도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해 시강원에서는 『전국책』을 임금을 위한 수업 내용으로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여러 차례 『전국책』을 수입해 간행한 것을 보면 그 책이 필요한 것이라 암묵적으로 인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신하로서 조정에서 어떤 주장을 할 때는 『전국책』의 내용이 논리주장의 근거로 이용되곤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독서는 기본적으로 문인지식인들에게 그다지 권장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조선시대 문인지식인들은 공맹(孔孟) 사상을 기본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16세기 사림파 문인들이 성리학(性理學)에 심취하여 독서하고 이것이 문단의 대세를 이루었다.
조선중기라 할 16세기 말, 17세기초부터는 “문필진한(文必秦漢)”을 주장하는 의고주의(擬古主義) 문풍의 유행과 함께 진한(秦漢) 시대의 산문에 관심이 쏠리면서 『전국책』이 거론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 책에 대한 독서는 『전국책』의 내용으로 인해 모든 문인들의 지지를 받지는 못했다. 『전국책』에 대해 호감을 가졌던 인물들은 의고주의 문학사조의 영향에 있던 인물들임과 동시에 사상적 자유로움을 가졌던 인물들로 한정된다. 유몽인(柳夢寅), 장유(張維), 정두경(鄭斗卿)로 대표되는 이들 문인들의 전국책 에 대한 관심은 현실세계에 대한 문학적 표현에 더 신경 쓰게 만들었고, 역사와 문학, 비유와 우언 등의 적절한 사용에 대해 관심을 갖게 했다. 그리하여 이들의 문학은 조선중기 문풍의 독특한 특징을 이루게 된다.
                    본고는 조선중기의 문인지식인들이 궤휼(詭譎)의 책 『전국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읽었으며, 또 어떠한 영향을 받았을지를 추적해 보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도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해 시강원에서는 『전국책』을 임금을 위한 수업 내용으로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여러 차례 『전국책』을 수입해 간행한 것을 보면 그 책이 필요한 것이라 암묵적으로 인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신하로서 조정에서 어떤 주장을 할 때는 『전국책』의 내용이 논리주장의 근거로 이용되곤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독서는 기본적으로 문인지식인들에게 그다지 권장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조선시대 문인지식인들은 공맹(孔孟) 사상을 기본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16세기 사림파 문인들이 성리학(性理學)에 심취하여 독서하고 이것이 문단의 대세를 이루었다.
조선중기라 할 16세기 말, 17세기초부터는 “문필진한(文必秦漢)”을 주장하는 의고주의(擬古主義) 문풍의 유행과 함께 진한(秦漢) 시대의 산문에 관심이 쏠리면서 『전국책』이 거론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 책에 대한 독서는 『전국책』의 내용으로 인해 모든 문인들의 지지를 받지는 못했다. 『전국책』에 대해 호감을 가졌던 인물들은 의고주의 문학사조의 영향에 있던 인물들임과 동시에 사상적 자유로움을 가졌던 인물들로 한정된다. 유몽인(柳夢寅), 장유(張維), 정두경(鄭斗卿)로 대표되는 이들 문인들의 전국책 에 대한 관심은 현실세계에 대한 문학적 표현에 더 신경 쓰게 만들었고, 역사와 문학, 비유와 우언 등의 적절한 사용에 대해 관심을 갖게 했다. 그리하여 이들의 문학은 조선중기 문풍의 독특한 특징을 이루게 된다.
영문 초록
  The Book of Warring States, Jeon-Guk-Chaek(戰國策), shows well the struggle among the states of feudal lords without addition or subtraction for survival in an era of the law of the jungle and was blamed for the contents of trickery contained in it.
This study attempts to trace what the literary men and intellectuals of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ought, read and were influenced by the Book of Warring States.
Accordingly to Joseonwangjosillok, or The True Record of the Josseon Dynasty, Sigangwon or the Bureau of Education for the Royal Family, did not use the Book or Warring States as a teaching material in the classes for the Kings. But the fact that the Book of Warring States was imported and published shows that the book was tacitly recognized as necessary. Moreover, the contents of the Book of Warring States were cited to support the logical basis for the contention of the vassals in the royal court. However, the reading of the book was not recommended basically for the men of literature or intellectuals, the reason being that they mainly believed and used the thoughts of Confucius and Mencius. Especially, the clique of Sarimpa, the force that led and ruled the society and the politics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dmired Sung Confucianism, the doctrines of Chu-tz, and read related books forming the mainstream of the literary circles.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late 16C to the early 17C, the Book of Warring States began to be mentioned with the popularity of the throwback trend that insisted on returning to the "Literature of Chen and Han Dynasties of China." But the reading of the book was not supported by all men of literature due to its contents. Those who favored the Book of Warring States are limited to the people who were under the influence of throwback literary trend with liberal thinking such as Mong-In Yu(柳夢寅), Yu Jang(張維)and Du-Gyeong Jeong (鄭斗卿). Their interest in the Book of Warring States made them pay more attention to the literary expressions about the real world and be interested in appropriate usage of history, literature, metaphor and apologue and as a result created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literature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attempts to trace what the literary men and intellectuals of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ought, read and were influenced by the Book of Warring States.
Accordingly to Joseonwangjosillok, or The True Record of the Josseon Dynasty, Sigangwon or the Bureau of Education for the Royal Family, did not use the Book or Warring States as a teaching material in the classes for the Kings. But the fact that the Book of Warring States was imported and published shows that the book was tacitly recognized as necessary. Moreover, the contents of the Book of Warring States were cited to support the logical basis for the contention of the vassals in the royal court. However, the reading of the book was not recommended basically for the men of literature or intellectuals, the reason being that they mainly believed and used the thoughts of Confucius and Mencius. Especially, the clique of Sarimpa, the force that led and ruled the society and the politics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dmired Sung Confucianism, the doctrines of Chu-tz, and read related books forming the mainstream of the literary circles.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late 16C to the early 17C, the Book of Warring States began to be mentioned with the popularity of the throwback trend that insisted on returning to the "Literature of Chen and Han Dynasties of China." But the reading of the book was not supported by all men of literature due to its contents. Those who favored the Book of Warring States are limited to the people who were under the influence of throwback literary trend with liberal thinking such as Mong-In Yu(柳夢寅), Yu Jang(張維)and Du-Gyeong Jeong (鄭斗卿). Their interest in the Book of Warring States made them pay more attention to the literary expressions about the real world and be interested in appropriate usage of history, literature, metaphor and apologue and as a result created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literature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목차
국문초록
Ⅰ. 여는 말 - 『전국책(戰國策)』개관
Ⅱ. 『전국책(戰國策)』에 대한 조선조 문인들의 평가
Ⅲ. 조선중기 독서경향과 『전국책(戰國策)』
Ⅳ. 맺는 말 - 시대변화에 따른 새로운 관심과 변모
참고문헌
ABSTRACT
	                       
                    	Ⅰ. 여는 말 - 『전국책(戰國策)』개관
Ⅱ. 『전국책(戰國策)』에 대한 조선조 문인들의 평가
Ⅲ. 조선중기 독서경향과 『전국책(戰國策)』
Ⅳ. 맺는 말 - 시대변화에 따른 새로운 관심과 변모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