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n the State of Balhae’s Poetry and the Tendency of the Poetic Creation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장원철(Jang Woncheol)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26輯, 165~19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국문 초록
  ‘발해학’이라고도 불러도 좋을 만큼 근래 들어 활황을 보이고 있는 발해 연구 분야 가운데에서 발해 한시문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발해 문학에 대한 그러한 연구 부진의 원인은 무엇보다도 발해 문학의 실상을 알려줄 문헌이 그다지 남아 있지 않은데다, 전하는 작품조차도 중국이나 일본과 같은 다른 나라에 남아 있는 단편적 자료만을 연구 대상으로 해야 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전하는 발해의 한시문은 모두 209편으로 8가지 종류로 나뉘어져 있다. 이 가운데 실용적 문장을 제외하고서 문학적 연구의 대상이 될 만한 한시 작품으로는 주로 일본 쪽의 문헌에 전해 오는 9수만이 있을 뿐이다. 이러한 빈약한 자료적 형편으로 볼 때 발해 문학 연구의 가장 주된 대상은 발해 문학의 정화로서 발해 문학이 도달한 수준을 가늠케 하는 기준의 역할을 그나마 해낼 수 있는 한시 작품을 꼽아야 할 것이다.
특히 이들 작품은 단편적이기는 하나 그 자체로서 발해문학이 도달한 높은 문학적 수준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주목의 대상이 된다고 하겠다. 아울러 나라 사이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 8ㆍ9세기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이 형성되던 시기에 발해 사람들이 중국과 일본을 왕래하면서 한시의 교환을 통해 국가를 넘어선 정서적 교감, 나아가 문화적 동질의식과 상호 이해를 증진시켜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연구 대상으로 주목된다고 하겠다.
일찍이 필자는 7~10세기에 이르는 우리나라 한시의 역사를 재구성해내기 위해서 네 부류의 작품의 그룹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 바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주목할 것은 8세기 이후 통일신라와 더불어 남북국 시대를 형성하고서 중국ㆍ일본 등지에 사신으로 다니면서 작품을 남겼던 발해 시인들의 한시문학이라고 하겠다.
통일신라와 정치적으로 대립하였던 발해는 신라와는 별반 교류를 가지지 않았던 반면 주변의 중국ㆍ일본과는 신라와 경쟁적으로 활발한 정치ㆍ문화적 교류를 행하였다. 이들 발해 사람들이 중국과 일본에 문헌에 남겨놓은 한시 작품은 그러한 과정의 산물로서 정작 발해 본국의 문학적 유산이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 시기 한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이 시기의 한시의 역사의 전개는 초기의 정치ㆍ의례적 표현수단을 벗어나서 특히 9세기에 이르게 되면 국가와 언어를 달리하는 개인들 사이에서 상호간의 의사를 소통하는 새로운 역할, 곧 문화적 동질의식과 상호이해를 증진시키는 공동문어문학의 서정적 갈래로서의 성격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따라서 발해 한시문학에 대한 논의는 당대 중국과 일본의 한시문학에 대한 비교적 시각과 동아시아 한시네트워크의 성립이라는 국제적 문화교류와의 관련 양상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새삼 제기된다고 하겠다.
발해 시인들이 남긴 작품은 그 계기가 어쨌든 간에 모두 지리적 범위의 확대를 통한 문학적 교류를 행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호간에 심정과 사상을 전달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유력한 방법이었다. 이 논문에서 다루었던 8세기 이후로 중국ㆍ일본 등지에 사신으로 다니면서 작품을 남겼던 발해시인의 한시문학이야말로 지리적 확대에 따른 문화적 교류를 통해 동일한 한자문화권에서의 문화적 동질 의식과 상호 이해를 증진하였던 대표적 경우로 그 문학사적 의의를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러한 교류의 수단이 다름 아닌 한자문화권의 공통문어문학인 한시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한시문학은 서로 언어가 통하지 않는 이국인끼리 상호간에 심정과 사상을 전달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유력한 방법이었다. 이논문에서 다루었던 8세기 이후로 중국 일본 등지에 사신으로 다니면서 작품을 남겼던 발해시인의 한시문학이야말로 지리적 확대에 따른 문화적 교류를 통해 동일한 한자문화권에서의 문화적 동질 의식과 상호 이해를 증진하였던 대표적 경우로 그 문학사적 의의를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전하는 발해의 한시문은 모두 209편으로 8가지 종류로 나뉘어져 있다. 이 가운데 실용적 문장을 제외하고서 문학적 연구의 대상이 될 만한 한시 작품으로는 주로 일본 쪽의 문헌에 전해 오는 9수만이 있을 뿐이다. 이러한 빈약한 자료적 형편으로 볼 때 발해 문학 연구의 가장 주된 대상은 발해 문학의 정화로서 발해 문학이 도달한 수준을 가늠케 하는 기준의 역할을 그나마 해낼 수 있는 한시 작품을 꼽아야 할 것이다.
특히 이들 작품은 단편적이기는 하나 그 자체로서 발해문학이 도달한 높은 문학적 수준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주목의 대상이 된다고 하겠다. 아울러 나라 사이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 8ㆍ9세기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이 형성되던 시기에 발해 사람들이 중국과 일본을 왕래하면서 한시의 교환을 통해 국가를 넘어선 정서적 교감, 나아가 문화적 동질의식과 상호 이해를 증진시켜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연구 대상으로 주목된다고 하겠다.
일찍이 필자는 7~10세기에 이르는 우리나라 한시의 역사를 재구성해내기 위해서 네 부류의 작품의 그룹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 바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주목할 것은 8세기 이후 통일신라와 더불어 남북국 시대를 형성하고서 중국ㆍ일본 등지에 사신으로 다니면서 작품을 남겼던 발해 시인들의 한시문학이라고 하겠다.
통일신라와 정치적으로 대립하였던 발해는 신라와는 별반 교류를 가지지 않았던 반면 주변의 중국ㆍ일본과는 신라와 경쟁적으로 활발한 정치ㆍ문화적 교류를 행하였다. 이들 발해 사람들이 중국과 일본에 문헌에 남겨놓은 한시 작품은 그러한 과정의 산물로서 정작 발해 본국의 문학적 유산이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 시기 한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이 시기의 한시의 역사의 전개는 초기의 정치ㆍ의례적 표현수단을 벗어나서 특히 9세기에 이르게 되면 국가와 언어를 달리하는 개인들 사이에서 상호간의 의사를 소통하는 새로운 역할, 곧 문화적 동질의식과 상호이해를 증진시키는 공동문어문학의 서정적 갈래로서의 성격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따라서 발해 한시문학에 대한 논의는 당대 중국과 일본의 한시문학에 대한 비교적 시각과 동아시아 한시네트워크의 성립이라는 국제적 문화교류와의 관련 양상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새삼 제기된다고 하겠다.
발해 시인들이 남긴 작품은 그 계기가 어쨌든 간에 모두 지리적 범위의 확대를 통한 문학적 교류를 행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호간에 심정과 사상을 전달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유력한 방법이었다. 이 논문에서 다루었던 8세기 이후로 중국ㆍ일본 등지에 사신으로 다니면서 작품을 남겼던 발해시인의 한시문학이야말로 지리적 확대에 따른 문화적 교류를 통해 동일한 한자문화권에서의 문화적 동질 의식과 상호 이해를 증진하였던 대표적 경우로 그 문학사적 의의를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러한 교류의 수단이 다름 아닌 한자문화권의 공통문어문학인 한시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한시문학은 서로 언어가 통하지 않는 이국인끼리 상호간에 심정과 사상을 전달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유력한 방법이었다. 이논문에서 다루었던 8세기 이후로 중국 일본 등지에 사신으로 다니면서 작품을 남겼던 발해시인의 한시문학이야말로 지리적 확대에 따른 문화적 교류를 통해 동일한 한자문화권에서의 문화적 동질 의식과 상호 이해를 증진하였던 대표적 경우로 그 문학사적 의의를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as studying on Balhae has been flourished, we have established a discipline which might be called Balhae Studies. On the other hand, studies on Balhae poetry, i.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have been not yet so fully explicated. It is because we hardly find the primary sources of Balhae’s poetry. Although we have some documents originated in the Balhae period, the poems found in these documents are very rare and kept either in China or in Japan.
Out of two hundred nine documents in eight categories that are known to be written inthe Balhae period, only nine poems, i.e., mostly reserved in Japan, are handed downto us. Although we have a lack of the original sources, we must primarily try to select the cream of the crop among these poems thus, we could show how the literature of Balhae has developed, and set down a barometer upon which we manage our studies on Balhae literature.
We should focus our studies on these top notch poems, although they are a few in numbers, since they are the representatives of Balhae literature by virtue of which we direct our studies further on Balhae literature which is known to achieve its artistic excellence. In between the 8th and 9th centuries, the 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was established with the dynamic cultural exchanges among the nations in the region of East Asia based on the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 the poems of Balhae, we find how these cultural exchanges aremade possible, since the poem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e., the officialwritten language among the nations in the region, show how the kingdom of Balhae communicate with China and Japan. In so doing, it is remarkable how the nations communicate each other with the poems written in the classical Chinese to enhance their cultural identity by exchanging their emotions.
Early on in the other papers, I have insisted that in order to reestablish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roughout 7th and 8th centuries, we need to investigate into four kinds of the poems. Among them, it is necessary tofocus primarily on the poems left by the poets of Balhae who are sent as the emissaries to China and Japan in the two kingdom period of the Korean history wherein Balhaeand Shilla are opposed to each other.
Balhae, because of its political opposition to Shilla, had the dynamic relationships politically and culturally with China and Japan, yet less with Shilla. Thus, the poets of Balhae left the poems in the documents that they wrote in China and Japan. While it is hardly to find much of the poetic literature within Balhae itself, the documents found in China and Japan are the precious sources upon which we find out how the poetic literature of it, i.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s developed in this period. If we closely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oems in this period,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expressions found in the early poems have enhanced to be lyrical. In the 9th Century, the poems, i.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become consequently viz., literature of lingua franca, the means by which the peoples in East Asia, who speak different languages, communicate and understand each other, since they share the communal written langu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oems of Balhae in conjunction with those of China and Japan so that, in this way we explain how the Classic East Asian poetic literary network is to be born among three countries.
Whether they intended or not, the literary works, that are left by the poets of Balhae, seem to extend the geographical and linguistic limits of the countries in the region. The Chinese poetry is specifically the communal writing tool in East Asia, viz., the Chinese cultural region. Thus, by virtue of the poet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e three different peoples in the region, although they speak their own lan
                    Out of two hundred nine documents in eight categories that are known to be written inthe Balhae period, only nine poems, i.e., mostly reserved in Japan, are handed downto us. Although we have a lack of the original sources, we must primarily try to select the cream of the crop among these poems thus, we could show how the literature of Balhae has developed, and set down a barometer upon which we manage our studies on Balhae literature.
We should focus our studies on these top notch poems, although they are a few in numbers, since they are the representatives of Balhae literature by virtue of which we direct our studies further on Balhae literature which is known to achieve its artistic excellence. In between the 8th and 9th centuries, the 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was established with the dynamic cultural exchanges among the nations in the region of East Asia based on the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 the poems of Balhae, we find how these cultural exchanges aremade possible, since the poem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e., the officialwritten language among the nations in the region, show how the kingdom of Balhae communicate with China and Japan. In so doing, it is remarkable how the nations communicate each other with the poems written in the classical Chinese to enhance their cultural identity by exchanging their emotions.
Early on in the other papers, I have insisted that in order to reestablish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roughout 7th and 8th centuries, we need to investigate into four kinds of the poems. Among them, it is necessary tofocus primarily on the poems left by the poets of Balhae who are sent as the emissaries to China and Japan in the two kingdom period of the Korean history wherein Balhaeand Shilla are opposed to each other.
Balhae, because of its political opposition to Shilla, had the dynamic relationships politically and culturally with China and Japan, yet less with Shilla. Thus, the poets of Balhae left the poems in the documents that they wrote in China and Japan. While it is hardly to find much of the poetic literature within Balhae itself, the documents found in China and Japan are the precious sources upon which we find out how the poetic literature of it, i.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s developed in this period. If we closely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oems in this period,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expressions found in the early poems have enhanced to be lyrical. In the 9th Century, the poems, i.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become consequently viz., literature of lingua franca, the means by which the peoples in East Asia, who speak different languages, communicate and understand each other, since they share the communal written langu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oems of Balhae in conjunction with those of China and Japan so that, in this way we explain how the Classic East Asian poetic literary network is to be born among three countries.
Whether they intended or not, the literary works, that are left by the poets of Balhae, seem to extend the geographical and linguistic limits of the countries in the region. The Chinese poetry is specifically the communal writing tool in East Asia, viz., the Chinese cultural region. Thus, by virtue of the poet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e three different peoples in the region, although they speak their own lan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발해와 당의 문학적 교류 : 문화적 동질의식과 상호 이해의 형성
3. 발해와 일본의 문학적 교류 : 동아시아 한시네트워크의 성립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1. 머리말
2. 발해와 당의 문학적 교류 : 문화적 동질의식과 상호 이해의 형성
3. 발해와 일본의 문학적 교류 : 동아시아 한시네트워크의 성립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발해
                    
                    	발해 한시문학
                    
                    	발해시인
                    
                    	일본 한문학
                    
                    	남북국시대
                    
                    	한시문학
                    
                    	공동문어문학
                    
                    	한자문화권
                    
                    	동아시아 한시 네트워크
                    
                    	Balhae
                    
                    	Balhae’s poetry
                    
                    	Balhae literature
                    
                    	classical Chinese writing
                    
                    	Korean poet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lingua franca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he South-North States period
                    
                    	the Classic East Asian poetic literary network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