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Web-Based Expert System in Assessment, Programming, Evaluation for Children Developmental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전병운(Jeon Byung-Un) 김영희(Kim Young-Hee)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2권 제1호, 145~1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을 위해 개발한 웹기반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 전문가 시스템이 사용자 측면에서 접근의 용이성,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연결체계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구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현장에서 활용가치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청, 대전 지역 소재 유아 및 초등 특수교육기관 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에 관한 효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컨텐츠 영역은 5점 만점에 평균 3.52, 기술적 영역은 3.79, 활용적 영역은 3.54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은 3.68로 본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서 검토된 교사들의 의견을 토대로 시스템을 수정·보완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수준과 요구를 반영한 최상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accessibility in user-centered approach for user-centered interface, and effectiveness of connection system for diagnosis-evaluation connected intervention program in web-based expert system, (2) to verify the availability in the fields of education ultimately. 39 in-service teachers in Seoul, Kyung-Gi, Chung-Cheong, Daejeon who are teaching you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exceptiona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of effectiveness of web-based expert system.
Results demonstrated that in-service teachers marked 3.52 average score in 5 point Likert-like scale for the contents category domain, 3.79 average score for technical category domain, and 3.54 average score for availability category domain. therefore, web-based expert system was comparatively proven to be effective. In addition, accepting in-service teachers" suggestion through half-constructed survey, this system was continuously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e user"s level and needs.
Results demonstrated that in-service teachers marked 3.52 average score in 5 point Likert-like scale for the contents category domain, 3.79 average score for technical category domain, and 3.54 average score for availability category domain. therefore, web-based expert system was comparatively proven to be effective. In addition, accepting in-service teachers" suggestion through half-constructed survey, this system was continuously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e user"s level and need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