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ublic Service Centers Location and Facilities Opening Considering Budget Limitation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김채복(Chae-Bogk Kim) 김판수(Pansoo Kim)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22卷 第2號,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 센터(PSCs)의 위치결정과 각 공공 서비스 센터에서의 운영시설 할당 문제를 다룬다. 공공서비스 센터를 도시의 어느 곳에 위치시키고, 또한 각 공공 서비스 센터에서 어떠한 시설을 운영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예산의 한계 그리고 각 공공 서비스 센터와 시설이 요구하는 공간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0-1 정수계획법 문제로 본 문제를 모델링하고 그 해법을 제시하였다. 목적함수는 여러 블록의 인구가 서비스 센터의 시설을 사용하는 효용을 이용하여 모델링 하고, 제약식은 비용 및 공간 제약을 이용하였다. 제약식이 비용 및 공간 등 여러 개가 있어야 하는 문제의 특징 때문에 본 문제는 여러 개의 하부 문제로 나누어진다. 모델링된 정수계획법 문제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 0-1 knapsack 문제의 해법을 이용한 최적해 보장 절차가 제시 되었다. 그리고 최적해 조건에 맞지 않는 특별한 문제의 해법을 위해 그 경우에 적용되는 휴리스틱 알고리즘이 bin packing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개발되어 다양한 경우에도 해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예제를 통해 다양한 조건에 해당되는 풀이절차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ddresses the location determination of public service center (PSCs) and the allocation of facilities at each PSC. Considering the space requirement as well as budgetary constraint, we formulate the 0-1 integer programming model.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the problem is decomposed into sub problems. Then, solution procedure based on 0-1 knapsack problem is developed. The conditions that the developed procedure generates optimal solution are investigated. When optimality conditions are not hold, a heuristic algorithm is develop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제의 정의
Ⅲ. 제안된 알고리즘
Ⅳ. 예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문제의 정의
Ⅲ. 제안된 알고리즘
Ⅳ. 예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