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의 기후ㆍ지형 요소와 경관풍수에 의한 왕궁터의 평가

이용수 1,150

영문명
The Evaluation of Royal Palaces by the Landscape of Korean Pungsu and by the Variables of Climate and Geomorphology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옥한석(Han-Suk Ock)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19권 제1호, 78~90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4.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주거의 쾌적성과 건강성을 나타내는 기온, 강수, 풍향, 일조량, 풍속과 풍향, 수로, 산 능선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경복궁, 창덕궁, 경희궁 등 어느 왕궁이 생기가 넘치는 곳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경관풍수적 펑가와 비교하였다. 한양은 강수량과 기온이 고르지 못하며 풍향과 풍속을 고려할 때 남풍보다는 동풍과 서풍 계열이 우세하여 청계전과 양재천 일대에 장풍과 득수가 갖추어지므로 청계천을 명당수로 하는 곳에 주요 궁궐이 입지한다. 북악산에서 흘러나온 산을 주산으로 한 창덕궁과 경복궁 터는 서해에서 불어는 서북풍을 맞이하여 득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인경궁과 경희궁터는 한강수와 중랑천 청계천 성북천을 너머 부는 북동풍이 인왕산과 부딪쳐 만나게 되므로 득수에 유리하다. 그러나 경복궁터는 목멱산과 인왕산을 잇는 백호가 낮아 북동풍에 의한 장풍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가 흩어진다. 경관풍수적으로 인경궁과 경희궁터가 좋게 평가되었다. 한양의 기후ㆍ지형적인 조건이나 경관풍수의 측면에서 인경궁, 경희궁이 보다 나은 명당으로 선정된다. 풍수지리가 연중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며 습도의 큰 변동없이 통풍이 잘되고 일조량이 상당한 조건을 갖춘 곳의 쾌적성을 찾는 분야라 할 때 기후와 지형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I evaluate traditional royal palaces in Seoul of the Pungsu vitality based on climatic variables, topology, and I investigate whether they can coincide with the evaluation by the landscape of Korean Pungsu or not. Seoul has unmoderate temperature, changeable precipitation, and low humidity. Considering direction and velocity of the wind, there are westly and eastly wind rather than southly wind. There"s good jangpung and duksu around the Yangjae and Cheonggye stream areas, which are with sengki (vitality) there. In this matter, Gyungbok, Changgyung, Changduk, and Gyunghee palaces are founded around the Cheonggye stream. Around the Gyungbok palace, Duksu is not good and Sengki is less collected. Also Han River flowing toward the southwest from Mt. Yongmun in the Yangpyeong and northeastly wind blowing from Jungrang, Chunggye, and Sungbuk streams make Ingyung and Gyunghee palaces bright yard. Changduk palace around Mt. Naksan facing the northwestly wind is good in Duksu. Based on the view of landscape of geomancy, Gyunghee palace has more Sengki. Detailed climatic-geomorphological analyses, which reveal micro-scale characteristics of climatic comfort around these palaces, are needed in order to evaluate traditional concepts of Pungsu in a modem scientific sense.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한양의 기후ㆍ지형적 특징과 이에 의한 왕궁터의 평가
3. 왕궁터의 경관풍수적 평가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옥한석(Han-Suk Ock). (2007).서울의 기후ㆍ지형 요소와 경관풍수에 의한 왕궁터의 평가. 문화역사지리, 19 (1), 78-90

MLA

옥한석(Han-Suk Ock). "서울의 기후ㆍ지형 요소와 경관풍수에 의한 왕궁터의 평가." 문화역사지리, 19.1(2007): 78-9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