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Dongyeo and Its Status in the History of the Large-Scale Maps in Late Joseon Period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蔣尙勳(Sang-Hoon Jang)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19권 제1호, 37~5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국문 초록
조선 후기에 제작된 대축척 조선전도 중 하나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동여〉의 체재와 지리 정보는 金正浩가 제작한 〈靑邱圖〉와 매우 유사하여 어느 한 지도가 다른 한 지도를 저본으로 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동여〉만이 가지고 있는 몇 가지 특성들은 19세기 전반에 제작된 〈청구도〉보다는 〈조선지도〉와 〈해동여지도〉 등 18세기 후반의 대축척 군현지도에 가깝다. 곧 지도 위에 方案이 그려져 있고, 제주도와 울릉도를 전국 범위의 경위선 조직 밖에 두고 있으며, 전통적인 連脈式 표현을 활용하는 점 등이 좋은 예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점은 〈동여〉에 수록된 지명들이 1859년에서 1865년 사이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사실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정은 현존 〈동여〉가 후대의 전사본이며. <동여〉의 원본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곧 〈동여〉 원본은 18서l기 후반 〈조선지도〉 이래의 대축척 지도 제작 전통 위에서 제작되었으며 〈청구도〉는 〈동여〉 원본을 저본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여〉 원본의 제작시점은 조선 정조~순조대로 1791년 전후를 상한으로 하며 〈청구도〉의 제작시점인 1834년 이전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Dongyeo now in custod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most invaluable piece of information in the studies of large-scale Joseon peninsula maps. The Dongyeo remaining today is a copied version of the original created in a later date, and there was indeed an original version that had existed before. This Dongyeo should have been a large-scale map of the Joseon pεninsula that was created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early 19th century, and was created based upon the technical expertise achieved by earlier large-scale Gun/Hyeon maps with quadrangular boxes made in the late 18th century. This Dongyeo should also have served as a model for Kim Jeong Ho’s Cheonggudo.
목차
요약
Abstract
1. 머리말
2. 〈東輿〉의 體裁와 經緯線 組織
3. 〈東輿〉의 제작 시기
4. 〈東輿〉의 특성과 지도사적 위치
5. 맺음말
註
참고문헌
Abstract
1. 머리말
2. 〈東輿〉의 體裁와 經緯線 組織
3. 〈東輿〉의 제작 시기
4. 〈東輿〉의 특성과 지도사적 위치
5. 맺음말
註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