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icksell Connection and Post Keynesian: Pseudo Monetary Theory and Proper Monetary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사회경제학회
- 저자명
- 황재홍(Hwang Jae Hong)
- 간행물 정보
- 『사회경제평론』 제28호, 69~9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01

국문 초록
레이욘후푸드에 의해 빅셀커넥션이라고 명명된 1920-30년대 거시이론은 대부분 현대 주류 거시경제학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레이욘후푸드는 그 계기중 하나로 케인즈의 『일반이론』의 출간 그리고 케인즈의 IS-LM식 해석 등을 지적하면서 이자율의 시점간 오조정을 통해 경기변동을 설명하려는 빅셀커넥션의 이론틀을 다시 살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달리 포스트 케인지언은 케인즈의 IS-LM식 해석에 반대하면서도 빅셀커넥션의 부활이 아닌 케인즈의 고유의 이론을 부각시키며 빅셀커넥션과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근본적인 불확실성을 강조하는 포스트 케인지언의 이론 체계는 조정실패를 강조하는 레이욘후푸드(또는 빅셀커넥션)의 이론체계와는 화해가 어려울 정도의 이질적인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빅셀커넥션과 케인즈의 구체적인 화폐경제학 내용에는 상당한 유사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Most macroeconomic theories in 1920-30s, which Leijonhufvud defined as "Wicksell Connection", disappeared in modern macroeconomic textbooks. Leijonhufvud regards General Theory and IS-LM system as the main factors which brought about these consequences, and makes a case for revival of Wicksell Connection, which puts heavy stress on the idea of maladjustment of the interest rate. Although Post-Keynesian are very critical of IS-LM, they also make an attempt to distinguish Keynes from Wicksell Connec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foundation of Post Keynesian theoretical system (Fundamental Uncertainty) may be irreconcilable with that of Wicksell Connection (Coordination Failure). Nevertheless concrete monetary theories of both schools have much more similarities than is usually expected.
목차
Ⅰ. 서론
Ⅱ. 화폐적 분석과 실물적 분석
Ⅲ. 내생화폐론과 빅셀커넥션
Ⅳ. 『일반이론』 17장에 대한 강조
Ⅴ. 내부적 일관성의 문제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Ⅱ. 화폐적 분석과 실물적 분석
Ⅲ. 내생화폐론과 빅셀커넥션
Ⅳ. 『일반이론』 17장에 대한 강조
Ⅴ. 내부적 일관성의 문제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