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Self-Expression Ttaining Program on Self Identity and Self Respect of Teenagers Focused on Cartoon Drawing Activity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노용(Row Yong) 김정원(Kim Jeong-Wo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1券 1號, 151~18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화 그리기 활동을 적용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서울시 상계동 소재 S중학교 학생 6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김정인(2004)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기초로 만화를 활용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사전ㆍ사후 설문조사 하였다. 평가도구는 원호택, 이훈진(1995)이 개발한 자기개념척도와 로젠버그(Rosenberg)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척도(1965)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간의 동질성검사, 사전ㆍ사후검사의 통계처리는 SPSS ver 13.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만화를 통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자기개념의 하위영역 중 신체, 도덕, 성격, 능력에서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자기표현훈련 미술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art oriented self expression training program that applied the cartoon drawing activity on the self-identity and self-respect. The study methods are first, 66 teenagers from S middles school in Nowon-gu, Seoul were divided into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conducted and analyzed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 tests. Second, the self expression training program that was used in the study of self expression training program design using cartoons was taken as a basis.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rough the questionnaire sheet. Third, for the evaluation tool, the self-identity standard (subgroups: body, morality, personality, family, society, ability) developed by Lee, Hoon-Jin and Won, Hoon-Taek(1995) and self-respect standard(1965) developed by Rosenberg and translated by Jun, Byung-Je(1974) were used. For the statistics of the pre entropy test of the test and control groups, pre and post test of the control group, and pre and post test of the test group,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ver. 13.0. As a result, when the self expression training program through cartoons were trained to the teenager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elf-identity(body, morality, personality, family, society, ability) and self-respect have improved in the tes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among the subgroups of the self-identity, in the body, morality, personality and ability group, the tes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the self expression training program has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self-identity and self-respec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