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d Historical Study on the Educational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한용진(Hahn Yong Jin)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293~31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학제 개혁에 관한 학문적 토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교육사적 접근을 통해 동서양의 학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학제는 넓은 의미로는 “학교교육과 교외교육(가정교육, 사회교육 등)의 통합을 통한 평생공부 체제”이며, 좁은 의미로는 “학교제도에 관한 제도와 그 규정”으로 나눌 수 있다. 서양의 학제는 개인적ㆍ종교적 관심에서 출발하여 근대 공교육 체제로 편입되면서 국가적 통제 대상으로 발전되었다. 반면에 동양에서는 전통시대부터 교육은 국민 교화를 위한 국가적 관심사였다. 특히 여러 유교 경전들 중『소학』은 그 자체가 넓은 의미의 학제일 수 있음을 밝히고, 일본의 근대적 학제와 한국 전통 학제, 그리고 광복 이후 우리나라의 학제 제정의 논쟁 과정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동서양 학제의 비교교육사적 고찰을 통해 얻어지는 현대 학제개편의 제언으로는, 첫째 학제를 처음 만들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가자는 것이며, 둘째 학제의 유연성을 인정하는 방안이고, 셋째는 각급 학교단계에 따른 학제 운영의 조화적 적절성과 균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서양 학제의 비교교육사적 고찰을 통해 얻어지는 현대 학제개편의 제언으로는, 첫째 학제를 처음 만들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가자는 것이며, 둘째 학제의 유연성을 인정하는 방안이고, 셋째는 각급 학교단계에 따른 학제 운영의 조화적 적절성과 균형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comparative and historical study on the educational system attempts to explore the scholarly foundation about the school system reforms in current Korea. In a broad sense, the educational system means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not only at school but also at home and at society. But in a narrow sense, it means only the school systems and the act, laws and regulation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school system.
The modern western educational system starts from the individual and religious interest and develops to the modern public education system which was controlled by nation. On the other hand, the eastern educational system was the main interest of the nation for the enlightenment of all the people. Especially, I suggest that one of the confucian book, 『Sohak』 is a kind of educational regulations and it would be a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I proposed three schemes according to the Foundationism of Ki-Un Hahn as follows; First, we have to think about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Second, it would be better to recognize the flexibility of the educational system. Third, I emphasize the balance and harmonious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at each school stages.
The modern western educational system starts from the individual and religious interest and develops to the modern public education system which was controlled by nation. On the other hand, the eastern educational system was the main interest of the nation for the enlightenment of all the people. Especially, I suggest that one of the confucian book, 『Sohak』 is a kind of educational regulations and it would be a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I proposed three schemes according to the Foundationism of Ki-Un Hahn as follows; First, we have to think about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Second, it would be better to recognize the flexibility of the educational system. Third, I emphasize the balance and harmonious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at each school stages.
목차
〈요약〉
Ⅰ. 변화를 요구받는 현행 학제
Ⅱ. 학제에 관한 이해 : 비교교육사적 관점에서
Ⅲ. 맺음말 : 미래사회의 학제
참고문헌
〈Abstract〉
Ⅰ. 변화를 요구받는 현행 학제
Ⅱ. 학제에 관한 이해 : 비교교육사적 관점에서
Ⅲ. 맺음말 : 미래사회의 학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