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Union Militancy among Union Leaders in Korea: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FKTU and KCTU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윤찬성(Yoon Chan-Seong) 이덕로(Lee Deog-Ro) 김찬중(Kim Chan-Jung)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4권 제1호, 167~19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조합의 파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 사이에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노총 산하 금속노련과 민주노총 산하 금속연맹 소속 단위노조의 노조간부들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380부를 자료를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불만족변수 중 인사제도에 대한 불만족은 합법파업성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금ㆍ복지후생ㆍ인사제도에 대한 불만족은 불법파업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변수 중 조직몰입은 합법파업성향과 불법파업성향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노조몰입은 합법파업성향과 불법파업성향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파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소속노총은 합법파업성향과 불법파업 성향에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첫째, 불만족변수 중 인사제도에 대한 불만족은 합법파업성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금ㆍ복지후생ㆍ인사제도에 대한 불만족은 불법파업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변수 중 조직몰입은 합법파업성향과 불법파업성향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노조몰입은 합법파업성향과 불법파업성향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파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소속노총은 합법파업성향과 불법파업 성향에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the determinants of the union militancy are and where there is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determinants and the union militancy in korea.
To accomplish this research objective, 1,500 union leaders from 150 unit unions under FKTU and KCTU were randomly selected and surveyed with questionnaire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using collected 380 questionnai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ssatisfaction about HR policy makes a positive effect on the legal union militancy, and dissatisfaction about salary, benefits, and HR policy affect the illegal union militancy. Second, while organization commitment does not affect union militancy, union commitment make a positive effect on union militancy. Finally, it is shown that FKTU and KCTU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Especially dissatisfaction about benefits and HR policy and union commitment on legal union militancy are moderated by FKTU and KCTU, and dissatisfaction about benefits and labor management council on illegal union militancy are moderated by FKTU and KCTU.
To accomplish this research objective, 1,500 union leaders from 150 unit unions under FKTU and KCTU were randomly selected and surveyed with questionnaire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using collected 380 questionnai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ssatisfaction about HR policy makes a positive effect on the legal union militancy, and dissatisfaction about salary, benefits, and HR policy affect the illegal union militancy. Second, while organization commitment does not affect union militancy, union commitment make a positive effect on union militancy. Finally, it is shown that FKTU and KCTU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Especially dissatisfaction about benefits and HR policy and union commitment on legal union militancy are moderated by FKTU and KCTU, and dissatisfaction about benefits and labor management council on illegal union militancy are moderated by FKTU and KCTU.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자료분석 및 가설의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자료분석 및 가설의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