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ve Effect of Personal, Structural, and Situational Attribut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eacher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고종욱(Ko Jong-Wook) 손경애(Son Kyung Ae)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4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조직의 구조적 특성 및 상황적 특성이 정서적, 지속적, 규범적 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국 30개 초ㆍ중동학교 교사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적 몰입의 경우 몰입규범(β=.258), 자아투자(β=.236), 직무다양성(β=.168), 동료지원(β=.221)이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지속적 몰입의 경우 직무의 다양성(β=-.116), 구직기회(β=-.320)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규범적 몰입의 경우 몰입규범(β=.186), 분배공정성(β=.111), 동료지원(β=.157)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의 인적특성 및 조직의 물리적 특성 등의 배경변인들이 조직몰입의 삼요소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의 조직몰입이 정서적, 지속적, 규범적 몰입의 다차원적 차원에서 독립적으로 접근되어야 하고, 조직몰입에 대한 증진방안은 교사의 인적배경보다는 규범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에, 조직의 물리적 측면보다는 구조적 측면과 상황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마련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적 몰입의 경우 몰입규범(β=.258), 자아투자(β=.236), 직무다양성(β=.168), 동료지원(β=.221)이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지속적 몰입의 경우 직무의 다양성(β=-.116), 구직기회(β=-.320)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규범적 몰입의 경우 몰입규범(β=.186), 분배공정성(β=.111), 동료지원(β=.157)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의 인적특성 및 조직의 물리적 특성 등의 배경변인들이 조직몰입의 삼요소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의 조직몰입이 정서적, 지속적, 규범적 몰입의 다차원적 차원에서 독립적으로 접근되어야 하고, 조직몰입에 대한 증진방안은 교사의 인적배경보다는 규범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에, 조직의 물리적 측면보다는 구조적 측면과 상황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마련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 of personal, structural, and situational attributes on affective, continuous, and normative commitment of teachers in Korea. The study facilita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600 teachers from 30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as a statistical tool.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whereas commitment norm(β=.258), self investment(β=.236), job diversity(β=.168), support from their peer(β=.221) were likely to work for affective commitment, job diversity(β=-.116) and job opportunity(β=-.320) for continuous commitment, commitment norm(β=.186), fair distribution(β=.111), and peer support(β=.157) were inclined to work for normative commitment. In addition, personal or organizational background variables were less likely to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argues that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approached by the multidimensional components of affective, continuous, and normative commitment. The study also argues that the alternatives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developed while focusing on the structural and situational factors, not on the personal or physical factors of the organiz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whereas commitment norm(β=.258), self investment(β=.236), job diversity(β=.168), support from their peer(β=.221) were likely to work for affective commitment, job diversity(β=-.116) and job opportunity(β=-.320) for continuous commitment, commitment norm(β=.186), fair distribution(β=.111), and peer support(β=.157) were inclined to work for normative commitment. In addition, personal or organizational background variables were less likely to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argues that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approached by the multidimensional components of affective, continuous, and normative commitment. The study also argues that the alternatives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developed while focusing on the structural and situational factors, not on the personal or physical factors of the organiz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조직몰입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조직몰입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