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lf-configuration of the first stage of Sarim-pa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김용철(Kim Yong Cheol)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24집, 133~15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2.28

국문 초록
이 글은 『사우명행록』 과 『무오당적』 에 나타난 초기 사림파의 형상을 살펴보려는 한 시도이다. 인간은 자신이 바라는 자신의 상을 중심으로 행동한다. 따라서 초기 사림파가 자기 자신을 어떤 사람으로 이해했는가는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성종 말년에 작성된 『사우명행록』 과 선조 말년에 작성된 『무오당적』 은 100년의 시차가 존재하며 그 사이 사림파의 개혁운동은 완결되었다. 이들의 속에 나타난 자기 형상의 차이를 지적하는것 또한 중요하다.
『사우명행록』 은 성종 말년 비판적 지식인 남효온이 자신이 존경하던 스승과 벗들의 이름과 그들의 존경할만한 행적을 쓴 것이다. 여기에 수록된 인물들은 남효온, 김종직, 강응정이라는 세 가지 구심점을 갖는다. 쉽게 말해 비판적 지식인, 양심적 관료, 개혁적 성균관 유생이라는 세 가지 구심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셋 중 지도자격이었던 양심적 관료인 김종직과 상당히 껄끄러운 관계에 있는 상태에서 『사우명행록』 은 지어졌다.
『사우명행록』 의 이러한 세 가지 구심점은 동한 시대 당고의 화 시기 태학생과 양심적 관료가 결합하여 청의라 불리던 과격한 의론을 무기로 환관 내지 외척과 대결했다가 패배했던 모습을 연상시킨다. 실제로 『사우명행록』 이 지어질 당시에 이미 동한 시대 청의에 대한 일정한 인식이 있었으며 중종시기 김정국은 아예 당인들의 명단 곧 당적이란 말로 사화에 희생당한 사람들을 부르고 있다. 유성룡의 『무오당적』 이란 말도 여기에서 기인한 것이다.
『사우명행록』 이후 무려 100여년이 지나 유성룡에 의해 씌어진 『무오당적』 은 사림파 운동에 대한 이론적 총결산의 성격을 갖는다. 『무오당적』 자체가 무오사화 때 희생당한 사람들의 명단인 만큼 당연한 일이겠지만 『무오당적』 은 맑고 깨끗한 인격을 가진 순교자의 명단이라는 측면이 강하다. 여기에는 개혁가, 방외인, 구도자의 성격을 가진 인물들이 등장한다. 여기에서 『사우명행록』 에서 『무오당적』 으로 발전해 나간 사림파의 자기형상의 모습이 뚜렷하게 보인다고 할 것이다.
『사우명행록』 은 성종 말년 비판적 지식인 남효온이 자신이 존경하던 스승과 벗들의 이름과 그들의 존경할만한 행적을 쓴 것이다. 여기에 수록된 인물들은 남효온, 김종직, 강응정이라는 세 가지 구심점을 갖는다. 쉽게 말해 비판적 지식인, 양심적 관료, 개혁적 성균관 유생이라는 세 가지 구심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셋 중 지도자격이었던 양심적 관료인 김종직과 상당히 껄끄러운 관계에 있는 상태에서 『사우명행록』 은 지어졌다.
『사우명행록』 의 이러한 세 가지 구심점은 동한 시대 당고의 화 시기 태학생과 양심적 관료가 결합하여 청의라 불리던 과격한 의론을 무기로 환관 내지 외척과 대결했다가 패배했던 모습을 연상시킨다. 실제로 『사우명행록』 이 지어질 당시에 이미 동한 시대 청의에 대한 일정한 인식이 있었으며 중종시기 김정국은 아예 당인들의 명단 곧 당적이란 말로 사화에 희생당한 사람들을 부르고 있다. 유성룡의 『무오당적』 이란 말도 여기에서 기인한 것이다.
『사우명행록』 이후 무려 100여년이 지나 유성룡에 의해 씌어진 『무오당적』 은 사림파 운동에 대한 이론적 총결산의 성격을 갖는다. 『무오당적』 자체가 무오사화 때 희생당한 사람들의 명단인 만큼 당연한 일이겠지만 『무오당적』 은 맑고 깨끗한 인격을 가진 순교자의 명단이라는 측면이 강하다. 여기에는 개혁가, 방외인, 구도자의 성격을 가진 인물들이 등장한다. 여기에서 『사우명행록』 에서 『무오당적』 으로 발전해 나간 사림파의 자기형상의 모습이 뚜렷하게 보인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 tried that examined self-configuration of the first stage of Sarim-pa in Sau-Myungdaengrok and Muo-Dangjeok. Human followed his own self-configuration. Accordingly it is very important what is self-configuration in the first stage of Sarim-pa. Particularly, the distance is important in Sau-Myungdaengrok and Muo-Dangjeok.
Nam-HyoOn wrote Sau-Myungdaengrok in the last part of Seongjong. It is the list and achievement of teacher and friend that Nam had the highest regard for. They have the three center. Nam-HyoOn, Kim-JongJik, Kang-Eungjeong. They are a critical intellectual, a conscientious bureaucrat, a reformal Seongkyunkwan Confucian scholar. Sau-Myungdaengrok"s three center have some similarities to reformal Seongkyunkwan Confucian scholars and reformal bureaucrats in period of Trouble of Danggo in The East-Han Dynasty of china. The latter confronted and defeated eunuchs and empepor"s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Muo-Dangjeok is final theoretical settlement of accounts in Sarim-pa"s movement. It is one hundred years after Sau-Myungdaengrok. It have the charicteristics of the list"s of martyrs. Because it is the list of vimtims in Muo-Sahwa. Muo-Dangjeok have reformer, Bangwae-In and pilgrim. It is the road that Sarim-pa developed his self-configuration in one hundred years.
Nam-HyoOn wrote Sau-Myungdaengrok in the last part of Seongjong. It is the list and achievement of teacher and friend that Nam had the highest regard for. They have the three center. Nam-HyoOn, Kim-JongJik, Kang-Eungjeong. They are a critical intellectual, a conscientious bureaucrat, a reformal Seongkyunkwan Confucian scholar. Sau-Myungdaengrok"s three center have some similarities to reformal Seongkyunkwan Confucian scholars and reformal bureaucrats in period of Trouble of Danggo in The East-Han Dynasty of china. The latter confronted and defeated eunuchs and empepor"s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Muo-Dangjeok is final theoretical settlement of accounts in Sarim-pa"s movement. It is one hundred years after Sau-Myungdaengrok. It have the charicteristics of the list"s of martyrs. Because it is the list of vimtims in Muo-Sahwa. Muo-Dangjeok have reformer, Bangwae-In and pilgrim. It is the road that Sarim-pa developed his self-configuration in one hundred years.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 제기
Ⅱ.『사우명행록』의 세 가지 구심점
Ⅲ.『사우명행록』과 당고의 화
Ⅳ.『무오당적』과 사림파의 형상
Ⅴ.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Ⅰ. 문제 제기
Ⅱ.『사우명행록』의 세 가지 구심점
Ⅲ.『사우명행록』과 당고의 화
Ⅳ.『무오당적』과 사림파의 형상
Ⅴ.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