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과관계에 대한 용수와 가우다빠다의 비판

이용수 81

영문명
Critique of Causality in the Philosophy of Nāgārjuna and Gaudapāda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지수(Lee Ji-soo)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4호, 213~23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6.0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ausality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convenient and necessary conceptual apparatus to analyse and interpret the changes of phenomenal world. Therefore, Indian Philosophical systems, i.e. Hindu, Jaina and Buddhist philosophy as well as Western philosophy developed various theories of causality.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law of cause and effect has been regarded to fetter the human being in the prison of space, time and limitedness against the human aspiration for ultimate liberation and transcendental dimension, therefore in Indian philosophy the dialectic to negate the law of cause and effect has been offered on the basis of different motivation and reasons from the Western Humean philosophy.
  In Indian philosophy, two philosophers, i.e. N?g?rjuna of the M?dhyamika Buddhism and Gaudap?da of the Advaita Ved?nta philosophy are remarkable for their dialectic to negate causality.
  N?g?rjuna criticises causality in Chap. I and XX of his monumental work, M?dhyamika-k?rik? and Gau?ap?da, in Chap. Ⅲ of his ?gama-??stra. This paper is humble attempt to compare the two philosophers" dialectic to negate causality.

목차

Ⅰ. 머리말
Ⅱ. 용수의 인과관계 비판
Ⅲ. 가우다빠다의 인과관계 비판
Ⅳ. 용수와 가우다빠다
English Summar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수(Lee Ji-soo). (2002).인과관계에 대한 용수와 가우다빠다의 비판. 불교학연구, (4), 213-234

MLA

이지수(Lee Ji-soo). "인과관계에 대한 용수와 가우다빠다의 비판." 불교학연구, .4(2002): 213-23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