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hoice Task on Consumer Decision Making About Product Options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과학회
- 저자명
- 차태훈(Cha Tai Hoon) 배윤경(Yun Kyoung Bae) 박광용(Kwang Yo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마케팅과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2004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245~25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택과업에 따라 옵션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 선택과업의 방식이 옵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자기 감시성의 조절역할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1에서는 소비자의 선택과업에 따라 어떤 옵션을 선택할 것인지와 자기 감시성의 고/저에 따라 옵션 선택에 차이가 날 것인가를 살펴보았고 연구2에서는 선물(gift-giving)구매 목적에서 선택과업에 따라 소비자의 옵션 선택의 차이와 자기 감시성에 따라 옵션을 선택함에 있어 조절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1의 결과는 획득선택의 경우에는 쾌락적 옵션보다 실용적 옵션을 선호하며, 포기선택의 경우에는 실용적 옵션보다 쾌락적 옵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선택과업에 따라 옵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자기감시성에 의한 조절효과가 발생하여 자기 감시성이 낮은 경우는 실용적 옵션을 선호하는 정도가 크며, 자기 감시성이 높은 경우는 쾌락적 옵션을 선호하는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연구2의 결과는 획득선태의 경우와 포기선택의 경우에 실용적 옵션보다 쾌락적 옵션을 선호하며 소비자의 선택과업에 따라 자기감시성에 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획득선택과 포기선택의 경우 실용적 옵션 보다 쾌락적 옵션을 선호하는 정도는 자기감시성이 낮은 경우보다 자기감시성이 높은 경우에 더 크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기업은 선택과업 방식과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의 성격인 자기 감시성을 이용하여 옵션 선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1의 결과는 획득선택의 경우에는 쾌락적 옵션보다 실용적 옵션을 선호하며, 포기선택의 경우에는 실용적 옵션보다 쾌락적 옵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선택과업에 따라 옵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자기감시성에 의한 조절효과가 발생하여 자기 감시성이 낮은 경우는 실용적 옵션을 선호하는 정도가 크며, 자기 감시성이 높은 경우는 쾌락적 옵션을 선호하는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연구2의 결과는 획득선태의 경우와 포기선택의 경우에 실용적 옵션보다 쾌락적 옵션을 선호하며 소비자의 선택과업에 따라 자기감시성에 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획득선택과 포기선택의 경우 실용적 옵션 보다 쾌락적 옵션을 선호하는 정도는 자기감시성이 낮은 경우보다 자기감시성이 높은 경우에 더 크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기업은 선택과업 방식과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의 성격인 자기 감시성을 이용하여 옵션 선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서론
[연구 1]
[연구 2]
참고문헌
서론
[연구 1]
[연구 2]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