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s on Marketing Promotion of Fashion - mall Image on Consumer"s Fashion Lifestyle, Seif Image : Focus on Mediation of Store Choice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과학회
- 저자명
- 권기대(Kwon Ki-Dae) 임상규(Lim Sang-Kyu) 신인숙(Shin In-Suk)
- 간행물 정보
- 『한국마케팅과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2004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399~41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30

국문 초록
연구의 배경은 DJ정부의 의해 추진된 동진정책의 일환으로 실행되고 있는 밀라노 프로젝트의성공이라는 연장선상에서 지역봉제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활성화, 패션몰과 백화점, 그리고 재래시장과의 공정한 시장경쟁을 촉진시킨다는 의미에서 지역자산의 경쟁력 재고라는 맥락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지역에서 의류를 비롯한 패션관련 상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점포들인 전문패션몰에 대한 여고 및 여대생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자아이미지가 패션몰 이미지 촉진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한 결과는 첫째, 패션라이프 스타일의 감각유형추구형은 점포선택행동의 장소요인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이미지의 외재적 지향성은 점포선택행동의 가격요인과 제품구색요인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이미지의 외재적 지향성은 패션몰이미지 촉진활동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점포선택행동의 판매원요인과 제품구색요인은 패션몰이미지 촉진활동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지역에서 의류를 비롯한 패션관련 상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점포들인 전문패션몰에 대한 여고 및 여대생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자아이미지가 패션몰 이미지 촉진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한 결과는 첫째, 패션라이프 스타일의 감각유형추구형은 점포선택행동의 장소요인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이미지의 외재적 지향성은 점포선택행동의 가격요인과 제품구색요인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이미지의 외재적 지향성은 패션몰이미지 촉진활동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점포선택행동의 판매원요인과 제품구색요인은 패션몰이미지 촉진활동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모델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모델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