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sumer Ability about Nutrition Labeling System and Strategic Framework for Improvement of the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김영숙(Kim Young Sook)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9권 제4호, 45~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효과적인 식품영양표시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한 것으로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소비자능력(지식·태도·기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방법은 2005년 11월 28일에서 12월 9일까지 부산시 소재 대학교의 여러 단과 대학 학생들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자계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과 다중비교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학생들의 일반적 영양지식은 10점 만점에 평균 6.74점, 식품영양표시제도에 대한 지식은 10점 만점에 평균 4.87점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대학생들의 소비자기능은 5점 만점에 평균 3.05점이었으며 식품영양표시제도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태도 점수에서는 5점 만점에 모두 3점 이상의 점수를 보여 대학생들은 식품영양표시제도가 많은 효과도 거둘 수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작용을 없애고 식품영양표시제도의 실시가 효과를 거둘 수 있기 위한 선행과제로 기업의 올바른 인식, 소비자의 관심 제고, 소비자의 정보활용능력 향상, 관리규정의 완비 및 확충과 담당공무원의 인력확보, 기업의 올바른 인식, 식품영양정보표시에 대한 계몽, 홍보를 통한 제도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nutrition labeling system in order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propose a strategic framework for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suggested draft of the revised nutrition labelling regulation, analysed the food labels carrying nutrient information and claims and we developed the strategy and the further studies for improvement of nutrition labelling system.
Participants were 600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were asked to fill in a questionair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by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o produce it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ith One-Way Anova, Duncan Test,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Perception and Knowledge of nutrition information are low, and consumer attitude to nutrition level is positive, but many participants were worried about side effects of nutrition level system. It"s thought that policy has a restriction of consumer information policy application although the utilization level is higher than past years. And the related factors are several demographic factors.
Participants were 600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were asked to fill in a questionair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by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o produce it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ith One-Way Anova, Duncan Test,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Perception and Knowledge of nutrition information are low, and consumer attitude to nutrition level is positive, but many participants were worried about side effects of nutrition level system. It"s thought that policy has a restriction of consumer information policy application although the utilization level is higher than past years. And the related factors are several demographic facto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관련연구고찰
Ⅲ. 연구문제 및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연구고찰
Ⅲ. 연구문제 및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