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roles of industrial design i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유부미(Yoo Boo Mee) 최정아(Choi Chung Ah)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0券 3號, 233~25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국문 초록
중학교와 고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산업디자인 교육을 통하여 사회 속에서의 산업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가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산업디자인교육의 개념을 명확히 하며,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내용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산업디자인교육의 목적은 형성된 미적 가치기준을 배경으로 실생활에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산업 사회의 공동생활에 필요한 올바른 디자인 가치를 지니도록 하여야 하며, 문화 소비자로서 디자인의 무한경쟁의 가치를 이해시켜야 한다. 대중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굿 디자인의 생산을 유도하는 소비자의 역할을 하는 까닭에 대중적 차원의 사회적 가치기준을 판단할 수 있는 거시적인 안목의 학습을 포함하여야 하며, 기초적인 조형능력을 바탕으로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익히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체계적인 교육과정 내용을 통하여 삶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분별력, 비판적 능력을 고양하며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고 발견하는 사회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id in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role and value of industrial design in society by clarifying the concept of industrial design education contained i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s. This paper also proposes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to be utilized in teaching practice. The purpose of industrial design education is to contribute to the proper use of artistic value standards by educating students on right design values amid living in an industrial society an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unlimited competitive value of design for consumers of culture. As students play the role as consumers who thereby make up popular culture and lead in the production of good designs, their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learning of a comprehensive viewpoint so that they can competently judge their social value and should enable them to learn how to achieve harmony and judge it based on fundamental formative ability. A systematic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ntent should enhance students’ sense of recognition and critical ability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s well as to play a social role in understanding and determining cultural identi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산업디자인 교육과정의 형성
Ⅲ. 중ㆍ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의 산업디자인 영역 분석
Ⅳ. 중ㆍ고등학교 산업디자인 교육의 방향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산업디자인 교육과정의 형성
Ⅲ. 중ㆍ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의 산업디자인 영역 분석
Ⅳ. 중ㆍ고등학교 산업디자인 교육의 방향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