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Friend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이상임(Lee Sang-Im)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東洋哲學 第26輯, 283~3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국문 초록
『논어』와 『아함경』 안에서 벗과의 관계는 인간의 기본적 윤리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벗과의 관계는 생래적이 아닌 선택적 관계이지만 인간이 공동체 생활을 하는데 아마도 가장 필수적인 관계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인간은 공동체 안에서 자신을 완성해나가며 또한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인과 공동체를 잇는 가교역할을 하는 벗이 부각되고 좋은 벗을 사귄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는다. 흥미로운 것은 공자와 세존 모두 자기만 같지 못한 사람을 벗 삼는 것에 대해 경계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주장은 공자와 세존이 강조하는 ‘인’과 ‘자비’에 반하는 행동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첫째로 자연적인 귀추라는 것, 그리고 둘째로 악으로 향할 수 있는 인간의 경향성에 대한 경고라는 점에서 중요한 관점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겠다.
영문 초록
In Confucianism and early Buddhism the relation between friend and friend is defined as one of the foundational ethical relations. Even 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is not what is given but can choose, the relationship is considered perhaps as the most necessary thing in communal life. Because human beings affect their community as well as they accomplish themselves within their communit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keeping good company is brought out, who takes a role of the bridge between an individual and his community. What is interesting is that both of Confucius and Buddha warns making a friend who is not as good as oneself. This kind of claim seems against benevolence and compassion which Confucius and Buddha emphasize. However, it can be concluded as the important point from the perspective that first, it is the a natural consequence and second, it is a warning against the possibility of human inclination toward evil.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벗의 의미
Ⅲ. 벗의 종류
Ⅳ. 벗의 중요성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Ⅰ. 들어가는 말
Ⅱ. 벗의 의미
Ⅲ. 벗의 종류
Ⅳ. 벗의 중요성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