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xiom That "Heart-mind is the Way" and Its Canon of Self-cultivation in Yang Jian"s Doctrine of Heart-mind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김연재(Kim Yon Jae)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東洋哲學 第26輯, 123~15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국문 초록
심학의 발전사에서 양간은 육구연과 왕양명 사이에서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었던 인물이다. 그는 정호(程顥)의 ‘천인일본(天人一本)’설을 근거로 하고, 나아가 육구연이 주희와의 논쟁과정에서 제시한 “나의 마음은 우주이다(吾心卽是宇宙)”라는 관점과 ‘존심명리(存心明理)’의 논법을 계승했다. 그 이론사유의 연원을 보자면, 그는 주로 공자의 ‘도(道)’의 정신과 맹자의 ‘양지(良知)’의 본질을 논거로 하여 마음의 본연의 속성을 균정하고자 했다. 그 방법론적인 의의로는, 그는 마음 본체가 운행되는 방식을 『역전』의 ‘역라(易理)’의 원칙 속에서 “마음은 의념을 일으키지 않는다(心不起念)”는 인간의 내면세계의 본질을 찾았다. 특히 그는 “사려가 없고 작위가 없다”는 본심의 성격은 ‘인심’의 본질을 밝히는 관건으로서, 수양의 경지로 고양되었다. 그 이론적 사유의 의의를 보자면, 그는 “인심이 바로 도심이다(人心卽道心)”라는 명제를 제시함으로써 도덕수양의 대원칙, 즉 일종의 ‘수양경(修養經)’을 확립하고, 이를 통해 유가의 도덕철학에서 중시된 ‘인의(仁義’의 마음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던 것이다. ‘도심’과 ‘인심’이 일체가 된다는 내용의 ‘수양경’은 후대의 심본론의 방법론적 토대가 되었다.
영문 초록
The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how Yang Jian applies the principle of Changes to his doctrine of heart-mind. In the developing history of the school of heart-mind, Yang Jian was a philosopher who has a status of associating between Lu Jiu-yuan and Wang Yang-ming. From the viewpoint of theoretical origin, he prescribed the original substance of heart-mind and its contents on the foundation of Confucius" spirit of the Way and Mencius" attribute of Liang-zhi. From the viewpoint of methodological significance, he presented the doctrine of self-cultivation that "no intentional thought arises in the heart-mind" through excavating the mode of the original substance of heart-mind from the principle of Changes implying in the Commentaries of the Book of Changes. Particularly, he understood the original-substantial stage of heart-mind and its significance through the mode of Changes of "the non-thought and non-ac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oretical thinking-way, he established the law that the heart-mind of humanity is the heart-mind of Way, and so founded the self-cultivating canon of the identical unity of the heart-mind of humanity and the heart-mind of Wa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he provided a basis of the doctrine of original substance for the successive school of heart-mind.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역리(易理)’의 해석방식: ‘기역(己易)’의 함의
Ⅲ. ‘천인본일(天人本一)’의 논리적 토대 : ‘도(道)’의 전일성
Ⅳ. 심본론의 구조 : 본성과 본심의 일체
Ⅴ. ‘인심’과 ‘도심’의 일체: “사려가 없고 작위가 없다(无思无爲)”는 경지
Ⅵ.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Ⅰ. 들어가는 말
Ⅱ. ‘역리(易理)’의 해석방식: ‘기역(己易)’의 함의
Ⅲ. ‘천인본일(天人本一)’의 논리적 토대 : ‘도(道)’의 전일성
Ⅳ. 심본론의 구조 : 본성과 본심의 일체
Ⅴ. ‘인심’과 ‘도심’의 일체: “사려가 없고 작위가 없다(无思无爲)”는 경지
Ⅵ.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