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ies on Changes in the Earthenware with Round Clay Bands - Focusing on the Seoul and Gyunggi Region -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저자명
- 서길덕(Seo Gil-Deok)
- 간행물 정보
-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5輯, 327~36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국문 초록
본고는 서울ㆍ경기지역의 원형점토띠토기의 변천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부가적으로 이 토기문화가 갖는 특징적인 성격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남한지역 내에서 원형점토띠토기류가 갖는 시간적 속성을 찾기 위해 기존의 형식분류에 사용된 속성을 재검토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형식분류에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속성과 논지에 필자의 세부 분류안을 첨가하여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속성을 바탕에 두고 필자 나름으로 세분하고 분석한 결과 서울ㆍ경기지역의 원형점토띠토기 시기는 약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1~3단계의 유적은 주로 산 정상부 혹은 높은 구릉의 정상부 및 사면부에 입지하고 있으며, 4단계 이하의 유적은 주로 평지, 충적지 또는 구릉현 평지에 입지하고 있음이 관찰된다. 특히 2~3단계에 속하는 유적은 안성 반제리, 파주 당하리, 수원 율전동 등인데, 돌 뒷채움식의 널무덤 혹은 움무덤이 확인되며, 4~5단계에서는 널무덤이 발견된다. 각 단계별 절대연대는 1단계가 B.C. 5세기代 혹은 그 이전으로 파악될 뿐이며, 그 이하의 단계에 있어서는 아직 뚜렷한 절대연대를 제시할만한 증거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남한지역 내에서 원형점토띠토기류가 갖는 시간적 속성을 찾기 위해 기존의 형식분류에 사용된 속성을 재검토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형식분류에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속성과 논지에 필자의 세부 분류안을 첨가하여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속성을 바탕에 두고 필자 나름으로 세분하고 분석한 결과 서울ㆍ경기지역의 원형점토띠토기 시기는 약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1~3단계의 유적은 주로 산 정상부 혹은 높은 구릉의 정상부 및 사면부에 입지하고 있으며, 4단계 이하의 유적은 주로 평지, 충적지 또는 구릉현 평지에 입지하고 있음이 관찰된다. 특히 2~3단계에 속하는 유적은 안성 반제리, 파주 당하리, 수원 율전동 등인데, 돌 뒷채움식의 널무덤 혹은 움무덤이 확인되며, 4~5단계에서는 널무덤이 발견된다. 각 단계별 절대연대는 1단계가 B.C. 5세기代 혹은 그 이전으로 파악될 뿐이며, 그 이하의 단계에 있어서는 아직 뚜렷한 절대연대를 제시할만한 증거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identifying changes in the Earthenware with Round Clay Bands Culture of the Seoul and Gyunggi region and explores distinct features of the culture.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the existing earthenware classification system to find out to which age Earthenware with Round Clay Bands belongs in South Korea. Also, it presents unique features of earthenware, relevant arguments, and detailed classification system and proposes chronological phases of Earthenware with Round Clay Bands.
Before analyzing earthenware, this paper re-examines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and finds out that the system is not fully based on the chronological order. Based on these features, this paper analyzes and divides the age of Earthenware with Round Clay Bands found in the Seoul and Gyunggi region into five phases.
Remains in the 1st and 3rd phase are usually found on the summit of mountains or the summit and slope of high hills. Remains in the 4rd phase or lower are discovered mainly in plain, alluvion, or the flat of hill areas. In particular, remains in the 2nd and 3rd phase such as Banje-ri of Ansung, Dangha-ri of Paju, and Yuljeon-dong of Suwon have pit tombs filled with stone or pit tombs with a simple wood coffin, while remains in the 4rd and 5th phases have pit tombs with a log coffin.
As for the absolute age of each phase, the 1st phase was in the early of 5th century B.C. and the evidences to prove the ovious absolute age are insufficient from 2nd to 5th phase.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the existing earthenware classification system to find out to which age Earthenware with Round Clay Bands belongs in South Korea. Also, it presents unique features of earthenware, relevant arguments, and detailed classification system and proposes chronological phases of Earthenware with Round Clay Bands.
Before analyzing earthenware, this paper re-examines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and finds out that the system is not fully based on the chronological order. Based on these features, this paper analyzes and divides the age of Earthenware with Round Clay Bands found in the Seoul and Gyunggi region into five phases.
Remains in the 1st and 3rd phase are usually found on the summit of mountains or the summit and slope of high hills. Remains in the 4rd phase or lower are discovered mainly in plain, alluvion, or the flat of hill areas. In particular, remains in the 2nd and 3rd phase such as Banje-ri of Ansung, Dangha-ri of Paju, and Yuljeon-dong of Suwon have pit tombs filled with stone or pit tombs with a simple wood coffin, while remains in the 4rd and 5th phases have pit tombs with a log coffin.
As for the absolute age of each phase, the 1st phase was in the early of 5th century B.C. and the evidences to prove the ovious absolute age are insufficient from 2nd to 5th phas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원형점토띠 토기류의 변천양상
Ⅲ. 원형점토띠토기 유적의 입지선정
Ⅳ. 맺음말
【參考文獻】
Ⅰ. 머리말
Ⅱ. 원형점토띠 토기류의 변천양상
Ⅲ. 원형점토띠토기 유적의 입지선정
Ⅳ.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