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dministrative Operation System of Geographical Nam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양보경(Bo-Kyung Yang) 정치영(Chiyoung Jung)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18권 제3호, 73~9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국문 초록
지명은 인간이 지표상에 생활하면서 어느 특정한 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별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부호이다. 지명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성·변화·소멸하며 때로는 부활하기도 한다. 현재 한국에도 지명의 제정, 변경, 폐지와 관련된 각종 제도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를 규정하는 법령도 제정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지명업무 현황 전반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통하여 미비점을 찾아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한국은 지명을 크게 자연지명, 행정지명, 해양지명 등으로 나누어, 각각의 관련 법령을 제정하고 이에 근거해 소관부처를 나누어 수행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명 관련 업무의 현황, 법적 제도, 운용 방식등 지명 관련 업무의 실태를 지명 관련 담당 공무원 등과의 면담 및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지명 관련 업무의 효율적 운영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지명업무 실태에 대한 조사를 통해 법령 및 중앙부처와 관련된 내용과 지방자치단체와 관련된 내용으로 나누어 지명 업무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Geographical name is what land expresses itself, or geographical identity which is expressed on the land. Geographical name is the one and only name which tells us geographical identity.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becomes necessary as the names change.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xisting system that maintain and preserve the geographical names in Korea which are going through birth, extinction and change systematically. The status quo of the work related with the geographical names has been analyzed by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ith the local government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geographical names. Also, legal acts and ordinances of various local governments are collected and analyzed.
목차
요약
Abstract
1. 머리말
2. 자연지명 및 관련 행정체계
3. 행정지명 및 관련 체계
4. 해양지명 및 관련 체계
5. 기타 지명 관련 법령 및 업무
6. 지방자치단체의 지명업무 현황
7. 결론 및 제언 : 지명업무의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1. 머리말
2. 자연지명 및 관련 행정체계
3. 행정지명 및 관련 체계
4. 해양지명 및 관련 체계
5. 기타 지명 관련 법령 및 업무
6. 지방자치단체의 지명업무 현황
7. 결론 및 제언 : 지명업무의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