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Validity of Adaptive Living Skills Curriculum- Community Living Skill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백은희(Eunhee Paik) 박용수(Yongsoo Par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1권 제2호, 199~21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0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대상 아동에게 진단-교수-평가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 지원의 일환으로 진단 후 교수에 중점을 둔 지역사회 중심 교육과정(ALSC-CLS: Adaptive Living Skills Curriculum-Community Living Skills, Bruinicks, Gilman, Anderson & Morreau, 1991)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전문가 회의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본 교육과정은 적용의 용이성, 언어적 명료성, 기술의 기능적 적합성, 기술 습득을 위한 활동의 효과성, 활동의 흥미수준과 즐거움, 학습자의 활발한 참여의 기회 제공, 내용의 적절성, 등에 관한 기준을 충족시킨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한 61명의 현장교사(일반학교와 특수 학교ㆍ급 교사)들에 의해 평가된 교육과정의 안면타당도의 경우 전체적인 타당도는 백분위 점수가 72.86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지역사회 중심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타당도는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community referenced curriculum(ALSC-CLS: Adaptive Living Skills Curriculum-Community Living Skills; Bruinicks, Gilman, Anderson, & Morreau, 1991) and (2) to provide curriculum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o are supposed to be educated through synthetical and systematic support which includes assessment-instruction-evaluation model. The content validity of curriculum program was analyzed based on connectivity of curriculum application, linguistic aspects of narrative production, functional suitability of skill, effect of activity for obtaining skills, interest level,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active participation by learners, content flexibility. 61 in-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face validity. In-service teachers marked 72.86 point for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which was comparatively high. Therefore, validity of community referenced curriculum was proven to be vali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