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Based on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on the Engagement and Development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원종례(Won JongRye) 이소현(Lee SoHyu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1권 제2호, 121~1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유치원에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들의 활동 참여와 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 간의 협력을 통한 활동-중심 삽입교수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일반 유치원 3, 4, 5세반에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 30명, 유아교사 6명, 유아특수교사 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교사 훈련, 개별화교육목표 구안, 활동-중심 삽입교수로 이루어졌다. 발달지체 유아들의 활동 참여율과 발달 점수에 미친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ㆍ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차이에 대한 차이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사 간 협력을 통한 활동-중심 삽입교수는 유치원의 계획된 활동, 자유선택활동, 일상적인 활동에 대한 발달지체 유아들의 참여율을 증진시켰으며, 대ㆍ소근육운동, 언어,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Activity Based Embedded Intervention based on collaboration model among teachers had effect on the engagement and development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included thirty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integrated in inclusive preschool, six general teachers, and six special teachers. All participating preschoolers were 3, 4, and 5 years ol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omposed of teaching teachers, establish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lan, and the Activity Based Embedded Intervention. To prove the effects of the Activity Based Embedded Intervention, pre-test and post-test for control group was design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Activity Based Embedded Intervention engagement participated in planned activities, child-initiated activities, routine activities more frequently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 level of development in the gross-motor, fine-motor, language, and social competence domains. Moreover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ratio of the engagement in the center time activities and the marks of development of these domains; fine-motor, language, cognitive performance, self-help skills, and social skills.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