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valuation and Factor Structures of Love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권순달(Soon-dal Kwon)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9권 제2호, 261~2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사랑 구조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측정 도구로 Sternberg가 제작한 45문항을 사용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 5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검사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하여, Sternberg의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Sternberg의 분석 결과와 일치하고 있으며, 문화와 환경이 다른 우리나라에서도 타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함께 이 검사 도구의 신뢰도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성, 연령, 혼인여부, 교제기간에 따른 요인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분산행렬(HΣ : Σ<SUP>(남)</SUP>=Σ<SUP>(여)</SUP>)과, 요인패턴행렬(HΛ : Λ<SUP>(남)</SUP>=Λ<SUP>(여)</SUP>) 검증 결과 성, 연령, 혼인여부의 요인 점수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교제 기간에 따라 요인 구조가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대학생들의 사랑 요인 구조 분석 결과 친밀감과 열정과는 .62의 상관이 있으며, 헌신의 요인에 직접적으로 친밀감은 .52, 열정은 .45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기초로 사랑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종속표집을 실시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연구 결과, Sternberg의 분석 결과와 일치하고 있으며, 문화와 환경이 다른 우리나라에서도 타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함께 이 검사 도구의 신뢰도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성, 연령, 혼인여부, 교제기간에 따른 요인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분산행렬(HΣ : Σ<SUP>(남)</SUP>=Σ<SUP>(여)</SUP>)과, 요인패턴행렬(HΛ : Λ<SUP>(남)</SUP>=Λ<SUP>(여)</SUP>) 검증 결과 성, 연령, 혼인여부의 요인 점수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교제 기간에 따라 요인 구조가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대학생들의 사랑 요인 구조 분석 결과 친밀감과 열정과는 .62의 상관이 있으며, 헌신의 요인에 직접적으로 친밀감은 .52, 열정은 .45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기초로 사랑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종속표집을 실시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Lov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human beings. Yet our knowledge of the nature of love remains uncertain because its tool was not considered scientifically respectable to measure love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concept of love and evaluated the validation of the Sternberg"s love scale in terms of ecology in Korea.
For this study used Sternberg"s test tool. It was composed three factors(intimacy, passion, decision/commitment), 45 items. Subjects were 553 university students. The reliability of tools was .92, .93, .95(Cronbach alpha) each othe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unded that test items of love were very valid in Korea and has high reliability. Second, appear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love was the same in spite of the age, sex marriage except terms. Third, was identified that the correlation of coefficient intimacy between passion is .62 and they have an .52 and .45 direct effect on decision/commitmen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we must study love in science and need to understand how the emotional experiences are interpreted by the lovers.
For this study used Sternberg"s test tool. It was composed three factors(intimacy, passion, decision/commitment), 45 items. Subjects were 553 university students. The reliability of tools was .92, .93, .95(Cronbach alpha) each othe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unded that test items of love were very valid in Korea and has high reliability. Second, appear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love was the same in spite of the age, sex marriage except terms. Third, was identified that the correlation of coefficient intimacy between passion is .62 and they have an .52 and .45 direct effect on decision/commitmen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we must study love in science and need to understand how the emotional experiences are interpreted by the lovers.
목차
한국어 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