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김미숙 이도화
- 간행물 정보
-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2006년도 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39~3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원의 목표성향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특히 목표성향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목표성향 이론과 선행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불확실한 과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부정적 평가에 대한 태도,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 노력 변수를 추가로 포함시켜 공변량 구조분석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제조업체 직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습목표성향이 강한 사람일수록 불확실한 과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고, 이로 인해 업무수행 목표수준을 높게 설정하는 동시에 창의적 문제해결 노력을 많이 하여 직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목표성향이 강한 사람일수록 직무성과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받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학습목표성향이 강한 사람보다는 약한 관계이기는 하지만 창의적 문제해결 노력을 통해 직무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 목표성향 중에서 학습목표성향이 평가목표성향보다 직무성과에 대한 효과가 훨씬 더 크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목표성향과 성과 사이의 매개 메커니즘을 부분적으로나마 밝힌 것은 향후 이와 같은 연구를 하는데 있어 주요한 학문적 공헌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기타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 등을 결론부분에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Ⅲ. 방법론
Ⅳ. 연구결과
Ⅴ.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Ⅲ. 방법론
Ⅳ. 연구결과
Ⅴ.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