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mparison to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life on employment status and residence type of individuals with mild mentally retarded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성우(Park Sung Woo) 신현기(Shin Hyun-Ki)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38권 제3호, 259~2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국문 초록
장애 학생들의 교육성과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21세기는 장애인들의 완전한 시민권 부여와 책무성을 촉진시키는데 이상적인 장기적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장애개인의 자기결정력 신장과 삶의 질 향상을 지역사회에서의 실천적 목표로 삼게 되었다. 이 연구는 장애 학생들의 거주형태와 고용상태에 따른 자기결정력과 삶의 질을 구명함으로서 장차 장애 학생들이 졸업 후 성인기 생활에서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의 실제적인 교수 접근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 고용상태에 있는 경도 정신지체인은 미고용 상태에 있는 정신지체인보다 자기 결정력과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시설보다는 가정에 있는 경도 정신지체인의 자기결정력과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자기결정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삶의 질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자기결정력이 중요 변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d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life on employment status and residence type of individuals with mild mentally retard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ployed individuals with mild mentally retarded higher self-determination
than unemployed individuals. Also, individuals with mild mentally retarded in family home higher self- determination than individuals living in institution did. Second, employed individuals with mild mentally retarded higher quality of life than unemployed individuals. Also, individuals with mild mentally retarded in family home higher quality of life than individuals living in institution did. Third, in the case of self-determination positive correlated quality of life. That is, self-determined individuals with mild mentally retarded, they can have a better quality of life.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1 자기결정력 척도
부록2 삶의 질 척도(고용 장애인용)
부록3 삶의 질 척도(미고용 장애인용)
부록4 피험자 실태 및 평가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