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functional curriculum on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kills for a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서은정(Seo Eun-Jung) 이상복(Lee Sang-Bo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38권 제3호, 333~3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능중심 교과과정실행이 3세 10개월 된 발달지체유아의 일상생활활동과 학교활동에 필요한 표현언어와 수용언어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 표현언어행동은 '손씻자', '쉬/소변 누자'와 '선발 신자' 등의 일상활동영역의 '자르자', '접자'와 '걷자' 등의 학교활동영역기능이었으며, 목표수용언어행동은 목표표현언어행동의 구체적 기능에 해당하는 핵심행동단계들을 실제 수행하는 것이었다. 목표행동을 중재하는데 사용된 교과과정 매뉴얼은 교사나 부모가 유아를 교수하는데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가 지침서 역할을 하는 소책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사정, 교수와 평가 등의 세 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연구자가 제공한 매뉴얼에 따라 부모가 차례대로 실행하였다. 또한 기능중심 교과과정 실행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상활동영역과 학교활동영역에서 표현언어와 수용언어별 행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응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에 의해 실시된 기능중심의 교과과정실행이 발달지체유아의 일상활동과 학교활동기능에 필요한 표현언어와 수용언어의 독립 수행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영문 초록
The functional assessment curriculum booklet was used to teach a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n daily routines and schooling to improve his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i.e., saying "wash hands", "go potty", and "shoes" for the daily living activity skills: cut it off, fold it, and walk it on for school activities) and receptive language abilities(i.e., doing all the steps of washing hands, urinating, and putting on shoes for the daily living activity skills; cutting off materials, folding color papers and walking on a line for school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3year 10month-old boy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his mother who delivered the intervention. The curriculum booklet used as an interventional tool in the study had largely three phases, such as assessments, instructions & evaluations.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based curriculum, i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the expressive language responses and receptive language responses in the child's independent daily living activities and schoo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functional curriculum were effective to increase the independent performance levels of correct expressive language responses and correct receptive language responses in the child's independent daily living activities and school activities.
목차
<요약>
1. 서론
2.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환경 탐사표
부록 2. 예비기능사정
부록 3. 독립수행 사정양식
부록 4. 목표행동 수행기록지(교사용)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