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antasy and Configuration of Jeon-Gi Literature at Namal-Ryocho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정규식(Chung Ku Sik)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20집, 213~24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1.01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나말여초 전기문학의 환상성과 문학적 형상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나말여초 전기문학의 환상성이 중국 문학의 장르관습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신라적 색채를 담지하면서 인간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법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나말여초 전기문학은 불교나 도교의 영향과 육조 지괴 및 당 전기의 자장에서 자유롭지는 않지 만 토속적 무속 사상과 신라의 현실문제를 결부시켜 새로운 모습으로 탄생하였다. 특히 본고에서 집중으로 다룬 ?首揷石枏?과 ?寶開?는 신이관을 바탕으로 한 전체주의적 세계관을 통해 작품의 주체가 시간성과 공간성이라 는 한계상황을 죽은 자의 소생이라는 환상성으로 극복하는 작품임을 밝혔다. 이를 통해 나말여초 전기문학의 미학인 환상성의 사상적 지반 속에는 무속사상을 기저로 하는 전체주의적 세계관이 자리잡았음을 알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Study on Fantasy and Configuration of Jeon-Gi Literature at Namal-Ryocho. I decided it into there parts such as illusional literature, realistic literature an realistic illusional literature, and started thinking over. They have biographical aspects obviously which is essential in early literature and they were formed by various refractions of simply copy into korean actual circumstances even though there were a lot of Chinese blocks. I think that Fantasy, Aeshtetics of Literature, is very special element in ?su-sap-suk-nam?and ?bo-ge?. We are able to find that foreign ideas such as Buddhism, Taoism and traditional concepts has mixed very well in an illusional literature. Therefore the main body has a character to overcome his limited situation by fantastic illus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환상성의 문학적 지반
Ⅲ. 환상성의 문학적 형상화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환상성의 문학적 지반
Ⅲ. 환상성의 문학적 형상화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