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ignificance of compiling 『古文百選One hundred articles as a classical literate style)』 and of accepting the theory of a group of writers who followed Tang-Song literature by Kim Seok-Joo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金光年(Kim Kwang-Nyeon)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20집, 87~1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1.01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7세기의 산문사적 전환을 시사하는 중요한 표지로서 김석주의 ??고문백선??에 주목하였다. 이 시기에 들어 당송파의 이론이 본격적으로 수용되면서 한국 한문산문사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는 바, ??고문백선??은 그 과도기적 상황을 보여주는 책으로서 높은 문학사적 가치를 지닌다. 김석주는 이 책에서 진한 고문과 당송 고문을 균형있게 뽑아놓음 으로써 산문의 경향이 한 편으로 편중되는 것을 경계하는 한편, ??당송팔대가문초??의 평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17세기 이후의 산문이 당송고문 위주로 개편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d on Kim Seok-Joo(1634~1684) as a principal writer who exert huge effect on the prosaic history during 17th century. Korean prosaic history entered upon a new phase during that period, and Kim"s anthology ??古文百選(One hundred articles as a classical literate style)?? stands for that transient phenomenon of 17th century. He picked out classical literate style of Qin-Han(秦漢) period and Tang-Song(唐宋) equally, for the purpose of keeping a look out for making too much concern on one of them. Meanwhile, he accepted critical remarks of ??唐宋八大家文抄??(Mo Kon"s anthology of eight great writers of Dang-Song period) positively. It also means that he had a major part on 17th prosaic histor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古文百選』의 編纂
Ⅲ. 唐宋派의 受容樣相
Ⅳ. 『고문백선』의 위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Ⅰ. 머리말
Ⅱ. 『古文百選』의 編纂
Ⅲ. 唐宋派의 受容樣相
Ⅳ. 『고문백선』의 위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김석주
한문산문
고문백선
당송파
의고파
모곤
당송팔대가문초
Kim Seok-Joo(金錫?)
Chinese written language prose(漢文散文)
One hundred articles as a classical literate style(古文百選)
a group of writers who followed Tang-Song literature(唐宋派)
a group of writers who followed Qin-Han literature(擬古波)
Mao Kun (茅坤)
A anthology of eight great writers of Tang-Song period(唐宋八大家文抄)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