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honology of Rhyme System in Classical Poetry of Henan during the Tang and Five Dynasties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朴柔宣(Park You-Sun)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중국학 제22집, 93~11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8.01
국문 초록
정형화된 틀을 벗어난 고체시는 자연 그 압운형식 또한 매우 자유로운 양상을 띠고 있다. 즉 단지 운서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실제 발음과 유사하게 압운을 취할 수 있고, 실제 고체시의 압운현상에는 이러한 현상을 종종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한 언어는 단순히 하나의 음계로만 구성되어진 것이 아니라 몇 가지의 음계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게 보아서 이는 표준어의 성분과, 독서음의 성분 그리고 방음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당대 어음의 구조를 살펴보면 당시의 어음은 雅言, 通語, 方音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雅言은 독서음체계의 반절 음을 가리키는 것이라 할 수 있고, 通語는 실제 통용되는 공통어체계인 詩韻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이밖에 보편적인 어음현상을 벗어난 현상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여 이 중에 方音의 요소를 찾아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당오대시기의 하남출신 시인들의 고체시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총체적 분석 작업을 통하여 당시 시인들의 고체시 압운현상 중 특징을 찾아내어 이를 분석하도록 하였고, 분석과정 중 나타나는 일부 특수운자를 찾아내어 이 현상을 열거 및 분석하고자 시도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당시 洛陽과 關中지역을 거점으로 쓰여진 音義 反切음계를 비교 분석하여 당시 通語와 雅言과의 차이를 밝혀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필자는 당시의 通語와 雅言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량의 자료를 분석하여 통계를 근거로 한 것임으로 당오대시기의 어음연구에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
Ⅱ. 唐五代河南?人古???系?其合?情?
Ⅲ. 特殊?字分析
Ⅳ. 唐五代河南古???和?音?反切?料比?
Ⅴ. ??
〈參考文獻〉
〈한글초록〉
Ⅱ. 唐五代河南?人古???系?其合?情?
Ⅲ. 特殊?字分析
Ⅳ. 唐五代河南古???和?音?反切?料比?
Ⅴ. ??
〈參考文獻〉
〈한글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