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열린교육의 발전적 방안 탐색

이용수 175

영문명
A Study on the Advanced Task of Yeolin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전용환(Chun Yong Hwan)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3집 제2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8.0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열린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당시, 열린교육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나, 교수 학습방법, 교육과정, 교육자료, 교육여건 등이 충분히 준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선학교 교사들은 열린교육을 전개하면서 많은 오류를 범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열린교육은 매스컴을 타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그후 10여년이 지난 오늘날, 열린교육은 사라져버렸고, 심지어 일선학교에서는 열린교육이라는 용어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왜? 무엇이 문제인가?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열린교육의 필요성을 찾아내고, 앞으로 열린교육이 보다 발전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하는데 있다.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교육은 우리 교육에 매우 필요한 교육방법이다. 그리고 열린교육은 사라지지 않았으며, 열린교육의 기본 철학은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다만, 열린교수-학습방법이 우리 교육현장에 접목되지 못했을 뿐이다. 둘째, 앞으로 열린교육, 열린교수방법, 열린학습방법 등의 개념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앞으로 열린교육을 평생교육체제 그리고 학교경영에서 열린경영 체제까지 그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Since 1980s, many tea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Yeolin Education and it has been expanded very fast in our classroom and school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that time, many problems were pointed out by teachers, that is, without much preparation in terms of teaching training, teaching environment, educational contents, curriculum, instructional method, etc. So, many teachers didn't know how to teach students with Yeolin Educational Methods. As a result, many teachers were making trial errors many times. But Yeolin Education has been expanded very fast by TV or mass communication. After 10 years over, these days Yeolin Education is faded away in our classroom, in our mind, and even silent on it. Why? What 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necessity of Yeolin Education. If it is necessary to our schooling, What should we do? In this point, I'd like to suggest advanced tasks to carry out Yeolin Education successfull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First, Yeolin Education is very necessary to our classroom and schooling. It is not end in a failure, its basic philosophy is the connection of 6th curriculum and 7th curriculum. It is not merely grafted on the present our classroom and schooling. Second, it is necessary exactly to define the concept of Yeolin Education, and more concretely to define the concept of Yeolin-teaching methods, Yeolin-learning methods. Third, we should try to extend the concept of Yeolin Education to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open school-management system.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열린교육의 필요성과 당시 우리 교육현장의 실상
Ⅲ. 열린교육의 효과 검토
Ⅳ. 열린교육의 정책적 분석
Ⅴ. 향후의 과제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용환(Chun Yong Hwan). (2005).열린교육의 발전적 방안 탐색. 열린교육연구, 13 (2), 1-20

MLA

전용환(Chun Yong Hwan). "열린교육의 발전적 방안 탐색." 열린교육연구, 13.2(2005): 1-2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