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illiam Autism Rating Scale with Children and Youth in the Republic of Korea : A Preliminary Study
이용수 62
- 영문명
-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illiam Autism Rating Scale with Children and Youth in the Republic of Korea : A Preliminary Study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최혜승(Hye-sung Choi) 김의정(Ui-jung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0권 제2호, 301~3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01

국문 초록
본 예비연구에서는 국내 79명의 아동과 청소년(56명의 자폐인과 23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국판 Gilliam Autism Rating Scale (GAR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GARS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더불어 GARS의 공인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the Autism Behavior Checklist (ABC)도 번역하여 실시하였다. GARS의 4가지 하위척도에 대한 Cronbach의 알파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내적합치도 신뢰도에 대한 강력한 증거이다. 또한 GARS의 하위척도들 간 상관도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GARS 점수들은 ABC 점수와 높은 상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서 도구의 공인타당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에 참여한 정상인 23명과 자폐를 지닌 56명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GARS의 변별타당도를 잘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결과들은 국내에서 GARS를 번역하여 자폐증을 평가하고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reliminary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illiam Autism Rating Scale (GARS) with 79 children and adolescents, including 56 individuals with autism and 23 individual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GARS and the Autism Behavior Checklist (ABC)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yielded high Cronbach coefficient alphas on four subtests of the GARS. This finding demonstrated strong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GARS subtests indicated the strong relationship the subtests have to each other and the overall composite. In addition the GARS scores correlated highly with the ABC scores providing evidence of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instrum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56 individuals with autism and the 23 individuals without disabilities. These differences verified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GARS. The results supported the efficacy of translating the GARS into Korean for use as a tool for assessing and diagnosing individuals with autism in the Republic of Korea.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
Ⅳ. Discussion
References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