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the Job Retention of Individuals with Autistic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임경원(Lim Kyoung Won) 곽승철(Kwak Seung Chul)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0권 제2호, 273~30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01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 장애인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및 작업환경의 하위 요인과 직업유지 요인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었다. 18세 이상의 직업유지 자폐성 장애인 42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양적연구 대상은 부모 42명, 직장동료 42명, 사후지도 담당자 8명, 고용주나 노무관리자 18명이었고, 질적 연구 대상은 정서장애학교의 취업담당교사 4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직업유지의 판단근거인 고용주 만족도에 대한 직업유지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일반적 기능수준, 가족기능, 작업 기능수준, 부모의 일에 대한 가치, 고용주 및 동료의 지지, 일에 대한 가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성 장애인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및 작업환경 하위 요인들의 직업유지에 대한 설명량을 알아본 결과, 일반적 기능수준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그 설명량은 12.2%였다. 셋째, 고용주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요인은 일반적 기능수준(r = .379, p < .01)이었으며, 일반적 기능수준이 높은 자폐성 장애인이 고용주 만족도도 높을 확률이 62.4%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장애학교 취업담당 교사들은 일반적 기능수준 요인, 가족의 지원, 고용주 및 동료의 지지가 자폐성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천적 시사를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언급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personal trait, domestic environment, job environment and job retention. 42 individuals with autistic disorder who have been retain over 6 months with or without job turnover, 42 parents, 42 peers, 8 follow-up specialist, 18 employers and managers participate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4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mployment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individuals with emotional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s of job retention factors which influence employers' satisfactions which were reasons to judge of job retention are level of functioning, level of domestic functioning, level of work functioning, valuing of work of parents, support of peers and employers, and valuing of work of individuals with autistic disorder in order. The explanatory estimator of job retention depending upon sub-factors of personal traits, domestic environments, job environments showed 12.2% in level of function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employers' satisfactions which were reasons to judge of job retention. Employer's satisfactio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only level of functioning factor(r = .379, p < .01). The probability when the higher level of function, the higher satisfactions of the employer was 62.4%. For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in job retention,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mployment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individuals with emotional disorder emphasized level of function, successful performance with family support and high family function, and importance of support with peers and employers. In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Ⅴ. 논의
후주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