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rinciple of Art Curriculum Making on the Basis of Eisner's Epistemology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자현(Lee Ja-Hyun) 강현석(Kang Hyeon-Suk)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2호, 47~8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이즈너의 인식론에 기초한 미술교육과정의 구성원리를 탐색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아이즈너의 인식론은 지식에 대한 확장된 개념에 초점이 있으며, 그것은 주로 표상형식에 대한 논의로 나타나고 있다. 인간은 표상형식을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추론한다. 인간이 미술을 통하여 세계를 이해하고 경험하게 하는 것은 미술의 본질이자 기능이다. 특히 미술은 다른 분야가 다루지 못하는 인간의 미적 지각을 다루고 있다. 사고와 인식, 감정과 정서는 서로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궤도상의 서로 다른 앎의 방식이다. 이러한 관점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아이즈너의 인식론의 성격과 내용을 밝히고, 둘째, 인식론과 미술 교육과정과의 관계를 살펴보며, 셋째, 인식이론에 기초한 미술교육과정 구성원리를 제안해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inciple of art curriculum making on the basis of E. Eisner's aesthetic epistemology.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art curriculum in the line of the nature of art and art educa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The issue about the art curriculum should be interpreted the aesthetic value and certain epistemology. Eisner's epistemology may provide valid base to art curriculum in that the nature of art primarily interacts with the knowledge of art. We consider the realms of argument about the discussion of the principle of curriculum making as mode of representation, rethinking art curriculum, and the issue of textbook. So, we discuss the three problems, interpreting the nature and content of Eisner's epistemology, the interrelationship of epistemology with art curriculum, and proposing the new principle of curriculum making to achieve aim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Eisner's epistemology should be reconsidered with the knowledge of art and representation in context of making art curriculum.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Eisner의 인식론과 미술 교육과정
Ⅲ. 미술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와 시사점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