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rogram Development Practitione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Performance at College-bas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박윤희(Park Yoon-Hee)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1권 제2호, 1~3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0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질 높은 교육이 프로그램 개발 담당자의 직무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데 주목하여 대학 평생교육의 주류 유형인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프로그램 개발 담당자를 중심으로 이들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직무의 중요성 인식, 자기효능감, 사기가 대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담당자의 개인특성과 직무수행간에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구명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담당자의 자아존중감은 프로그램 개발 직무의 중요성 인식, 자기효능감, 사기, 프로그램 개발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 직무의 중요성 인식 및 사기는 대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담당자의 직무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 직무의 중요성 인식과 사기는 대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담당자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였다. 넷째,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때 대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담당자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신의 직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며, 업무에 대한 근무의욕이 높을 때 직무수행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gram development performance and its 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sampled two persons from each institution of lifelong education (IOLE) out of a total population of program development practitioners working at 323 IOLEs attached to colleg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rogram development tasks, self-efficacy, morale, and the performance of program development. Seco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rogram development tasks and mora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of program development. So the higher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rogram development and morale is, the higher the performance level of program development will be. Thir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rogram development tasks and morale were found to serve as intervening variables that facilit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erformance more positively. Fourt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research findings shows that when a program development practitioner at an IOLE attached to a college has a high self-esteem, a strong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rogram development tasks and a high motivation for the work, the performance of program development improves.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Ⅳ. 연구의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제언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