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Instructional Adaptation on the On-Task Behaviors, Problem Behaviors, and Task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General Clas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황인영(Hwang In Young) 김수연(Kim Soo You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0권 제1호, 179~19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학급에 통합된 한 명의 정신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교수적 지원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과학, 수학, 미술 시간에 교수환경, 교수적 집단화, 교수방법, 교수내용, 그리고 평가방법에서의 교수적 수정을 실시하여, 대상 아동의 수업 참여도와 문제행동, 학습목표 달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업 참여도는 증가하였으며, 문제행동 발생율은 감소되어 장애학생에게 제공되는 교수적 지원이 일반학급 수업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애학생의 학습 목표도 교수적 수정이 이루어진 수업 후에 평균 70%이상 달성되었으므로, 일반 학급에서의 수업을 통해서도 장애학생에게 설정한 학습 목표가 달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structional adaptation on a retarded student' achievement in general class. A participant is a 10-year-old male identified as having mental retardation enrolling in public elementary school. Intervention is conducted with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3 subject condition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a teacher provides instructional adaptations that include modifications of instructional materials, activities, and strategies, and alternative assessments in science, mathematics, and art class.
The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is conducive to improving the target student's on-task behaviors, task achievement and for diminishing problem behaviors. In measuring the degree of task achievement we use alternative assessments. We also compare the rate of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delivering instructional adaptation. In conclusion, instructional adaptation is helpful for a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to improve his active and meaningful participation in general clas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