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Behavior Support through Functional Analysis o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Displaying Maladaptive Behavio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효신(Lee Hyo-Shin) 김현숙(Kim Hyun-Su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0권 제1호, 91~1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능평가를 통한 행동지원이 발달지체 유아들의 부적응행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3명의 발달지체유아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부적응행동을 정의한 후, 기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간접 및 직접평가를 통하여 행동의 기능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기능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기능평가 결과로 밝혀진 행동의 기능에 따라 각 유아의 행동지원 계획을 수립하였고, 이것을 대상간 중다기초선 설계에 따라 중재프로그램으로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대상유아들은 모두 중재의 시작과 더불어 급격한 행동상의 변화를 나타내었고, 기초선기간의 행동발생률과 중재기간의 발생률 간 중복된 측정치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는 것으로서, 기능평가를 통한 행동지원이 발달지체 유아들의 부적응행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부적응행동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는 점과 교사 및 부모들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요성 인식과 용이한 적용을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behavior support through functional analysis influences young childen with developmental delays displaying maladaptive behaviors such as self-injury, aggression, tantrums and excessively repetitive or irritating behavio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 of 3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enrolled in an integrated preschool. These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pre-screening and Eyberg Children Behavior Test by their teacher.
Interviews using Motivation Assessment Scale and direct observation using behavior analysis sheets, as assessment tools, were us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children's maladaptive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 suitable intervention was formulated and the researcher created a plan for proper behavior support implementation. In order to explore the behavior supports effec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3 stages; baseline, intervention, and follow-up, using a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a rate of change with regards to maladaptive behaviors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All subjects demonstrated a dramatic decrease in their problem behaviors, which render interactions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ifficult in an integrated preschool classroom, when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implement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