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fining co-teaching practices in inclusive elementary classrooms setting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최승숙(Choi Seong-soo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39권 제3호, 269~2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제 협력교수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통합학급교사와 관리자 (교장, 교감)들의 협력교수에 관한 목적, 특성, 실행, 효과, 문제점에 관한 인식을 알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46명의 특수교사, 34명의 통합학급교사와 19명의 관리자가 참여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협력교사와 관리자를 위한 설문지를 각각 작성하였고, 대상자중 41명은 (교사 30명, 관리자 11명) 직접면접에 참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위한 대상자들의 의견들은 각 대상자의 직책에 따라 (특수교사, 통합학급교사, 관리자) 비교분석 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연구 대상자들은 협력교수를 교사와 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협력교수 특성에 있어서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협력교수의 특성과 실제 수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특성에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협력교수 실행에 있어 협력교수를 위한 교사 간 역할 분담, 교수 사전계획, 교과 과정과 활동의 조정 및 수정, 학생의 진보 평가, 협력교사간의 의견교환 등에 있어서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간의 의견 차이가 보였다. 협력교수의 효과성에 관해서는 장애학생의 사회적 능력의 향상과 비장애 학생의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이 가장 큰 효과로 언급되었고, 문제점으로는 교사간의 장애아동의 통합 교육에 대한 철학의 차이와 협력교수 실행을 위한 사전 계획시간의 부족이 주요한 문제점으로 언급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효과적인 협력교수를 위한 노력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regarding co-teaching practices i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setting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currently or previously engaged in co-teaching practice) perceptions of the purpose, characteristics,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and barriers to co-teaching. A total of 80 special and general educators as well as 19 administrator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ounggido,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either the Dimensions of Co-teaching Survey-Revised for Teachers (DCS-R/T) or Principals(DCS-R/P).
Forty-on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o gain in-depth information about their co-teaching experiences. Perceptions of all participants were compared based on their positions. Overall, participants reported that co-teaching was beneficial to teachers and students alike. They reported that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benefited socially and academically. Teachers also improved their teaching skills and received professional support from each other. Some participan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o-teaching, however, raised concerns.
In addition, there was not a strong linear relationship between how important teachers perceive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good co-teaching in the U.S) to be and how often they implemented these characteristics in their co-teaching situations.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survey data on importance, effectiveness, and challenges of co-teaching practice across participan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