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mprove Special Education Plural-Major System Reflecting the Social Demand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봉(Lee Sung-Bo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39권 제3호, 55~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복수전공에 대한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특수교육 복수전공 제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나타난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특수교육 전공 교육과정 모듈별 로드맵을 작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구성원들은 복수전공을 모든 전공에서 골고루 선택했으며, 특히 복수전공으로 특수교육을 선호하고 있었다. 둘째, 사회구성원들이 특수교육을 복수전공으로 선택했을 때, 제1전공은 C대학교 개설 전공 40개 중에서 14개 전공이었으며, 특히 사회복지 전공이 특수교육 복수전공과 연관 있었다. 특수교육 복수전공과 제1전공과의 분석에서 연령별로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업체 규모별과 직종별로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복수전공에 대한 사회의 요구분석에 따라 작성된 특수교육 전공교육과정 모듈별 로드맵은 특수교육 복수전공자의 길잡이 역할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double major system of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The first step of the study is to make up a questionaire to the institutions which its graduates are supposed to work at. The next stage of the study is to make up a road map based on major modules for double major students. The outcome of the study informs us of the followings. First, double major degree is welcomed in almost all the fields, and especially special education is more favored. Second, 14 first majors out of the total 40 majors of C University are linked into special education as second major, and social welfare major turned out to be most closely related with special education major. Age does not make much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of two majors, but the size and kind of the institution do. Last, the road map based on modules becomes a great help to the students choosing special education as their second major.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복수전공 설문분석
Ⅳ. 모듈기반의 특수교육 복수전공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