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mpression of Plasticity of Bakjaekwanum through Model Work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도학회(Do Hak-Ho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3호, 301~3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국문 초록
일본 법륭사에 있는 백제관음은 세계적인 작품으로 명성이 있다. 그리고 ‘백제’라는
명칭 때문에 한일간에 제작자의 국적 논쟁이 분분한 작품이다. 연구자는 다른 학자들
의 이론과 역사적 근거를 조사하였고 또한, 이 작품을 직접 모작의 방법을 통하여 조
형성을 고찰하고 작품감상의 방향을 모색했다. 모작을 통한 조형성의 고찰은 더 세심한 관찰과 신체적 체험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론적 접근과는 다른 각도에서 작품
을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모작의 결과물은 실물의 사진 촬
영 및 공개를 제한하고 있는 현지(일본) 사정과 관계없이 과거 우리 문화와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는 우수한 문화재를 직접 감상 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모작의 경험
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백제관음상에서 보관, 얼굴, 대좌, 광배, 복식, 시대적 정황 등
의 특징들을 고려해 볼 때 ‘백제관음’에는 고구려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 조형적 특성
이 많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Bakjaekwanum, 百濟觀音, at the Horyuji(法隆寺,
) in Japan has its international reputation until today. And,
because of its name, Bakjaekwanum? there has been many disputes
over the nationality of the artists. Through the hands on investigation on
model work as well as thorough studies in both historical and theoretical
basis, a question arises on its name, Bakjae.
Since the study on the plasticity, according to the model work, takes
process of more detailed investigation and physical experience, it has
possibilities which require the analysis of the work in different
perspectiv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theoretical approaches. The
outcome of the model work provides us opportunities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difficulty of the on site visits and on site photographing
which enables appreciation of superior asset that has intimate
relationship to our past.
In 7th century, Japan and three countries in Korean Peninsula shared
cultural similarities as well as dissimilarities in many aspects. Thus, I
like to make points that, considering the safekeeping, the frontal shape,
the pedestal, the halo, the dresses, as well as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s of the time, more of the formal aspects of Kokuryo are
found than that of Bakjae.
목차
요약
Ⅰ. 머리글
Ⅱ. 백제관음의 역사적 고찰
Ⅲ. 백제관음의 조형성 비교 연구 및 모작
Ⅳ. 백제관음의 고구려적 조형양식의 가능성
Ⅴ.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