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Secondary Art Education Curricula for the students in educational college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덕(Park Eun-Deok)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3호, 103~12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국문 초록
중등미술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국내 사범대학 미술교육과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미국, 일본의 중등교원 양성 과정이 있는 4개 대학을 선정하여 국내대학과
의 교육과정을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교과교육학 과목의 종류 및 과목수
가 교과내용학에 비하여 상당히 빈약하며, 미술교육과의 교육과정이 작가 양성을 목표
로 하는 일반 미술대학의 교육과정과 별 차이가 없다. 따라서 미술교육과의 설치 목적
및 졸업생의 향후 진로를 염두에 두고 교과교육학 분야가 보강된 형태의 균형 잡힌 통
합적 교과과정의 모색이 필요하며, 이를 대학에서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 인
력의 양성 및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condary art education
curricula of the six Korean universities and compare them with four
universities in U.S.A. and Japan. It has been found that our secondary
art education curricula have severe biased aspects in proportioning the
ratio between the theory and studio courses. They contain very little
theory courses with a lot of studio art courses. The curricula of art
education department those educate secondary art teachers provide
various courses of oriental drawing, painting, design, sculpture, and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arts and design major department for
training the full-time artists. To have a distinctive identities and to
realize the objective of the art education curricula, we need to pursue
more reinforced theory courses and balanced integrated curricula, that is,
design and develop art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studio art,
assessment in art education,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ional technology in art education. We also need the organized
plan to secure the professors who can teach the theory courses in art
education.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글
Ⅱ. 선행연구
Ⅲ. 국내 미술교육과 교육과정 현황
Ⅳ. 외국 미술교육과 교육과정 현황
Ⅴ.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