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Understanding of Visual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선(Kim Jung-Su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3호, 29~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시각적 의사소통이 문화적 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시각문화교육
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검토되었다. 이를 위하여 개인적 행위의 표현과 그 사회적 확장으로서의 의사소통의 차이에 대한 검토와 시각적 의사소통과 문자적 의사소통과의 비
교를 통하여 시각적 의사소통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특별히 의사소통의 개념을 기호
학적 관점을 수용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시각문화의 교육적 관점에서
의사소통이라 의미의 단순전달이 아니라 의미의 생산과 교환이라는 구성적 특성이 강
조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시각적 의사소통은 시각적으로 읽고 쓰는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를 포함하는 적극적인 개념으로, 시각문화의 산물을 매개로
이해, 소통할 수 있는 구체적 의미의 실천과정에 가장 필요한 능력이라 하겠다. 따라
서 현행 미술교육이나 시각문화교육은 시각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문화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rt is communicative and can help understand aspects of the world
that they could not gain access to through other means. The role and
function of various visual images have become very significant in our
modern culture. So The demand of visual-culture education(VCE) has
been increased. VCE is based on artifacts which consists of learners'
meaning in their daily lives. It targets visual cultural communications by
positively participating in culture and reproducing meaning. VCE pursues
integrated knowledge through visual culture as social or relational
means. It is a wholistic education. Beyond artistic activity, VCE
broadens visual communication and then understands visual images and
then mutually communicates. Visual culture needs to express by visual
image, to understand visual image, and to communicate with visual
image. Communication is ‘producting and changing of meaning’ rather
than ‘only conveying information’ on the view of semiotics. It is good to
raise citizens who have a cultural capacity, so that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ersistent efforts to creat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current reality. VCE targets to understand visual culture as a
practical process that creates meaning under a particular culture and
circumstances. And it also targets to develop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to participate in that proces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
Ⅲ. 시각적 의사소통 능력의 필요성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