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stainable Growth of Non-Trade Sector and Current Account Constraint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저자명
- 한동근(Dong-Geun Han) 김종웅(Chong-Ung Kim)
- 간행물 정보
- 『경제연구』경제연구 제22권 제3호, 61~7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9.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상수지 균형 제약하에서 비교역재부문이 성장할 수 있는 이론적 한계를 도출 한다. 분석에 의하면 98년 금융위기의 원인이 되었던 경상수지 적자의 누적은 90년대 이후 지속된 비교역재부문의 급성장에 기인한다. 비교역재부문이 경상수지를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성장하는 데는 일정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1990년대 해외로부터의 자본유입이 비교역재 부문에서의 '지속가능한' 성장률을 초과하도록 한 원인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앞으로 경상수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비교역재부문의 성장을 어느 정도로 용인해야 할 것인가를 시나리오별로 추정해봄으로써 정부정책이 지향해야할 방향에 대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A prominent featre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was that the troubled countries experienced both cunrrent account deficits and fast growing non-trade sector in pre-crisis years. One might suspect that the fast growth of the non-tr ade sector is closely linked to the explosion of the current account deficits in the crisis-battered countries. 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al model where the growth of the non-trade sector necessarily results in current account deficit unless the non-trade sector is appropriately controled. The model shows that there exists an upper limit to which the non-trade sector can grow, keeping the current account in balance when given real exchange rate and growth of trade sector. Ours simulation shows that Korea's growth rate of the non-trade sector in 1990s surpassed 'sustainable glowth rate', which was a cause of the huge current account deficit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growth rate of the non-trade sector needs to be appropriately managed in order to keep the current account in balanc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모형설정
Ⅲ. 지속가능 성장률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