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ine Studie ber die Odenwaldschul Ober-Hambach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정영수(Chung Yeong-Su) 정기섭(Chung Ki-Seob)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2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좋은 학교'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좋은 학교'의 예를 19세기에서 20세기로 전환하는 시기에 기존의 교육에 반기를 들고 새로운 교육을 표방하며 전개되었던 개혁교육운동의 정신에서 살펴보고 우리의 학교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갖고 1920년대에 새로운 학교를 표방하였던 학교들 중에서 가장 우수한 점수를 받았던 독일의 오덴발트 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전원 기숙사 학교운동의 개혁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러한 틀에서 오덴발트 학교의 교육실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Das Grundanliegen dieser Arbeit liegt darin, eine Antwort auf die Frage nach "guter Schule" im Geist der reformp??dagogischen Bewegung zu finden und daraus die wichtigen Punkte f??r die Gestaltung einer guten Schule bei uns herauszubringen. Dabei wird die Odenwaldschule, die 1910 von Paul Geheeb gegr??ndet wurde und am Ende eines kleinen Seitentals der Bergstrasse gefunden wird, als der Gegenstand dieser Arbeit ausgew??hlt. Der Grund f??r die Auswahl der Odenwaldschule unter neuen Schulen liegt darin, dass "Bureau International des Ecoles Nouvelles" in Genf im Jahr 1922 30 Kriterien als Vosraussetzung f??r die Anerkennung als neue Schule definierte und unter Anwendung dieser Kriterien die Schulen gepr??fte und bei der Wertung die Odenwaldschule die h??chsten Punkte erhielt. Gem?? der Aufbe hat sich der Aufbau dieser Arbeit entwickelt: die Landerziehungsheimbewegung und Odenwaldschule, Erziehungspraxis der Odenwaldschule und die Schlu?? betrachtung.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전원기숙사학교 운동과 오덴발트 학교
Ⅲ. 오덴발트 학교의 교육 실천
Ⅳ. 맺는 말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